
[보건복지부]
정부가 수 천억원 예산을 투입해 치매의 원인과 진단, 예방, 치료기술 개발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2년을 맞아 내년부터 9년동안 2000억원 투입 계획 등을 담은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보건복지부는 2017년 이후 전국에 치매안심센터 256곳이 설치돼 262만 명이 해당 시설을 이용했다고 밝혔다.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상담과 검진, 1대1 사례관리, 치료 서비스 연계 등의 통합서비스를 담당한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중증치매질환자의 의료비 부담 비율이 최대 60%에서 10%로 낮아졌고, 신경인지검사나 자기공명영상법(MRI) 등 치매 검사에 대해서도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다.
전국 공립요양병원 55곳에 치매전문병동을 설치해 환각과 폭력, 망상 등 이상행동증상이 심한 치매환자에 대한 집중 치료를 운영한다.
또 공립요양시설이 없는 지역에는 오는 2023년까지 치매전담실이 있는 공립시설 130곳을 단계적으로 신축에 나선다. 현재 39곳에서 관련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정부는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