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난 19일 도청에서 주민참여예산 총회를 열고 내년도 주민참여예산 주민제안 공모사업에 대해 도민투표를 실시한 결과, 총 사업비 124억6100만원을 최종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앞서 도민들이 직접 제안한 예산사업에 대해 올해 5~8월 중 심사를 완료한 데 이어, 도민들에게 필요한 사업을 최종 선정하기 위한 2020년 주민참여예산사업 도민 투표를 지난달 24부터 9월18일까지 진행했다.
지난 19일에 열린 총회는 1․2부로 나눠 이뤄졌다. 총회 1부 행사에서 진행된 주민참여예산위원 활동평가 워크숍에서는 지난 1년 동안 주민참여예산위원으로서 활동을 돌아보고, 향후 이상적인 활동 모습을 그려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2부 행사는 2019년 경남 주민참여예산제 추진 경과보고와 2020년 주민참여예산사업 최종선정 발표 순으로 진행됐다.
2019년 경남형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에는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예산과정의 주민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민참여예산 공모규모를 52억원에서 130억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참여예산 도민역량 강화를 위해 예산교육을 지난해 8회에서 올해 20회로 확대 실시했다.
경남도 2020년 주민참여예산사업은 도정참여형 16억1200만원, 도시군연계형 89억6100만원, 지역주도형의 지원사업 18억8800만원 등 총 124억 6100만원 규모다.
도민주도형인 ‘도정참여형’과 ‘도시군연계형 사업’은 사업 소관부서의 타당성 검토와 구체화 과정을 거쳐 52건 112억9000만원의 사업이 최종 투표대상사업으로 총회에 상정됐다. ‘지역주도형 사업’은 지난 5~7월 읍면동 지역회의를 거쳐 자체적으로 사업을 발굴했으며 이번 총회에서 최종 승인됐다.
이 중 ‘도정참여형 사업’은 물놀이 수난사고 위험 경보시스템 설치 등 9건, 16억1200만원 규모다. 특히 벽지마을 비상용 구급함 설치는 사업비는 작았지만 주로 주민의 일상생활의 실질적인 불편함에서 제안된 사업들이라는 점에서 주민참여예산제 사업의 의미가 더욱 부각됐다는 게 경남도의 설명이다.
19일 총회에 참석한 박성호 행정부지사(경남도 주민참여예산위원장)는 “경남형 주민참여예산제는 행정 주도의 행정에서 주민들의 민주적 절차에 의해 모아진 의견을 행정과 소통으로 함께 좋은 사업을 만들어 낸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함께 만드는 완전히 새로운 경남’과 방향성을 함께 하는 것이 주민참여예산제”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총회에서 최종 선정된 사업들은 향후 의회 예산안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예산에 반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