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된 ISA … 수익률 상승에도 고객 외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민석 기자
입력 2019-09-25 0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올 7월 말 수익률 1.45% … 해지고객 8666명

은행권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수익률이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지만 고객의 계좌해지가 늘어나는 등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ISA 수익률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예·적금보다도 낮은 수익률이 고객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ISA의 장점으로 꼽히는 비과세 혜택도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다.

24일 ISA 다모아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기준 은행권 ISA 상품의 1년 간 평균 수익률은 1.45%로 집계됐다. 최근 3개월(0.97%)부터, 6개월(3.99%), 9개월(5.77%) 등 분기별 수익률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전년도 평균손실률이 -4.94%인 것을 고려하면 반년 만에 수익전환에 성공한 것이다.

하지만 시중은행의 예·적금 평균금리에도 못미쳐 아직까지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올 7월 말 예금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의 평균금리는 1.81%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ISA 수익률보다 0.36%포인트 높다.

이로인해 ISA를 찾는 은행 고객 발길은 더 줄고 있다. 올 7월 말 기준 은행에서 ISA를 해지한 고객은 8666명이었다. 올 1월 해지고객 수인 8150명을 상회한다. 뿐만 아니라 월별 평균가입자 수도 올 7월 말 4만8114명으로 전년 동기(6만6633명)보다 2만명 가량 줄었다.

고객이 ISA를 찾지 않는 또 다른 이유로는 부족한 세제혜택이 꼽힌다. 현행 ISA 상품 구조에 따르면 가령 한 고객이 연 4000만원 씩 5년간 2억원을 ISA에 넣어 수익을 올릴 경우, 200만원 까지는 이자소득세 15.4%를 감면받는다. 200만원을 넘어설 경우에는 9.9%의 분리가세가 적용된다.

200만원 수익을 올려도 세제혜택은 약 31만원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5년 동안 2억원을 묶어 놓아야 하는데 혜택 금액이 31만원에 불과하다는 점은 고객유인요소가 되기에 부족하다는 평가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출시될 때부터 장점으로 내세웠던 비과세 혜택이 고객에게 매력적으로 어필하지 못하고 있고 가입대상, 우대조건 등 복잡한 부분도 많아 이를 찾는 고객들이 뜸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자 은행들도 ISA에 대해 판매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고객 문의가 적고, 판매해도 적금형 상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예수금 확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ISA는 운용지시에 따라 예·적금, 펀드 등으로 나뉘어 해당 상품에 맞는 수신계정으로 편입된다"며 "또 상품 대부분이 적금 형태로 구성돼있어 큰 금액을 형성할 수가 없어 일정 수준의 예수금 확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해 큰 메리트가 없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