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일기=군국주의 상징" 日언론, 도쿄올림픽 욱일기 허용 우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배인선 기자
입력 2019-09-25 14: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도쿄신문 25일자 사설 "대회성공을 위해 욱일기 허용방침 재고해야"

일본 현지 언론이 25일 내년 도쿄 올림픽·패럴림픽에서 전범기인 욱일기 경기장 반입을 허용한다는 일본 정부의 방침에 문제를 제기하며 이를 재고할 것을 촉구했다. 

도쿄신문은 이날 ‘올림픽과 욱일기…반입 허용 재고를’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욱일기는 역사적 경위가 있어 경기장 반입을 허용하면 주변국이 반발할 수 있다"며 "대회 성공을 위해서도 재고를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욱일기가 과거 구(舊)일본군의 상징으로 사용됐다는 것은 역사적인 사실"이라며 "게다가 일본 국내에서는 지금도 욱일기가 군국주의와 국가주의의 상징으로 등장한다"고 지적했다. 욱일기가 대어기(大漁旗·풍어를 기원하는 깃발) 등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만큼 정치적 선전이 아니어서 경기장 반입이 문제없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무리가 있다는 얘기다. 

또 신문은 그동안 국제 스포츠 경기에서 욱일기가 문제가 됐던 전례도 들었다. 지난 2017년 4월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한 일본팀 가와사키(川崎) 프론탈레의 서포터즈가 경기장에서 욱일기를 펼쳐 들자 AFC가 이 팀에 벌금을 부과했었고,  앞서 2008년 베이징올림픽 때엔 주중 일본 일본대사관이 중국 내 일본인들에게 욱일기를 경기장에 반입하지 말라고 요청했다는 것. 도쿄올림픽에서 욱일기 반입이 문제없다는 일본 정부의 자세에 모순이 있다는 지적이다.

도쿄신문은 그러면서 "올림픽은 인간이 존엄성을 갖는 평화로운 사회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경기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주최국의 중요한 역할"임을 강조했다. 

일본이 과거 태평양전쟁 등에서 전면에 내건 욱일기는 일본 군국주의와 제국주의 침략 상징물로 쓰여 전범기기라 불린다. 독일의 경우 나치의 상징 문양 사용을 금지하고 있지만, 일본에선 욱일기가 일본 정부의 용인 하에 자위대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앞서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욱일기를 반입 금지품으로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우리나라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1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토마스 바흐 위원장 앞으로 보낸 장관 명의 서한에서 욱일기 사용의 부당성을 설명하며 사용 금지 조치를 요청했다. IOC 측은 "문제가 생기면 사안별로 판단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일본 군국주의 상징인 욱일기 찢기 퍼포먼스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