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제74차 유엔총회 참석 수행차 뉴욕을 방문 중인 강 장관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주유엔 대한민국대표부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는 전날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9월로 예상됐던 북한과의 실무협상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는 발언을 한 가운데 나와 주목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 "우리는 9월 말까지 실무 협상이 있기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내비친 공개적 성명을 봤다"며 "우리는 그러한 것이 일어나도록 할 수 없었다"고 말한 바 있다.
강 장관은 유엔총회 기간 한중·한일 외교장관 회담 개최 사실을 거론하며 "북미 실무협상이 조속히 재개돼 실질적 비핵화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강 장관은 미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도 북미 실무협상과 관련해 "수주 내 열릴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북한이) 협상으로 돌아올 준비가 돼 있다는 징후가 점점 더 구체화하고 있다"고 했다.
강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굉장한 가정(big hypothesis)"이라면서 "우리는 핵문제 논의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보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북한의 잇따른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리는 모두 우려하고 있다"면서 "대화 모멘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북한은 이(발사)를 멈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장관은 그러면서도 "우리는 다시 회복되고 있는 대화 모멘텀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절제된 반응을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28/20190928154036685900.jpg)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쉐라톤 뉴욕 타임스 스퀘어 호텔에서 문재인 대통령 유엔 총회 참석 의의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