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함경북도 경성군의 온실공장과 양묘장 건설장을 시찰하고 ‘시대적 요구’에 맞게 산간·농촌마을의 본보기를 다시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18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백마를 타고 ‘혁명의 성지’로 여겨지는 백두산과 삼지연군을 방문해 세계의 관심을 받았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 위원장이 “경성군 중평 남새(채소) 온실농장과 양묘장 건설장을 현지지도하셨다”고 보도했다. 현지지도에는 조용원·김여정·리정남·유진·박성철·홍영성·현송월 등 노동당 제1부부장과 부부장이 동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10여 년 전에 건설한 미곡협동농장마을이 지금에 와서도 농촌문화주택의 본보기가 될 수 없다”며 “농촌마을을 미곡협동농장처럼 꾸리겠다고 하는 것은 오늘날 혁명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나 같다”고 말했다.
미곡협동농장은 황해북도 사리원시에 위치해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절인 2000년대 모내기 방법 개선, 유기농법 도입 등으로 ‘모범농장’으로 평가받았다. 김 위원장이 ‘전국의 본보기’로 불렸던 미곡협동농장을 언급하며 이런 발언을 한 것은 시대가 변화한 만큼 새로운 모델 모색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발전하는 시대는 이상과 목표를 현실적이면서도 높이 정하고 완강한 실천력을 지니고 더 높이, 더 빨리 비약하며 전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시대적 요구에 맞게 부단히 새로운 전형, 본보기를 창조하고 그것을 불씨로 하여 따라앞서기, 따라배우기 위한 투쟁을 힘있게 벌여 연대적 혁신이 일어나게 하여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당에서 품 들여 건설하고 있는 이 농장이 과학농사 열풍을 일으키는 데서 기수가 되고 불씨가 되어야 한다"면서 "세계적인 농업과학기술발전추세와 온실남새부문 선진과학기술자료들을 깊이 연구하고 우리 실정에 맞게 적극 도입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산간지대의 군들은 삼지연군과 같은 기준으로 건설하며 농촌마을은 경성군 중평 남새온실농장마을 수준으로 건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계절과 관계없이 신선한 채소를 공급할 수 있는 과학농사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최근 국제사회에서 언급된 북한의 식량난과도 연관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김 위원장은 최근 '백마'를 타고 백두산과 삼지연군을 시찰해 눈길을 끌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백마를 탄 김 위원장의 모습이 웃통을 벗은 채 말을 타던 러시아 푸틴 대통령을 연상시킨다"고 전하며 주목했다.
그동안 김 위원장은 국정운영과 관련된 중요 결정을 앞두고 백두산을 찾았다. 그런 그가 이번 백두산 방문에서 "미국을 위수로 하는 반공화 적대세력들이 강요해온 고통이 분노로 변하고 있다"고 언급하자, 국제사회에선 이번 백두산행이 북한의 대미노선에 변화가 생기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 위원장이 “경성군 중평 남새(채소) 온실농장과 양묘장 건설장을 현지지도하셨다”고 보도했다. 현지지도에는 조용원·김여정·리정남·유진·박성철·홍영성·현송월 등 노동당 제1부부장과 부부장이 동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10여 년 전에 건설한 미곡협동농장마을이 지금에 와서도 농촌문화주택의 본보기가 될 수 없다”며 “농촌마을을 미곡협동농장처럼 꾸리겠다고 하는 것은 오늘날 혁명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나 같다”고 말했다.
미곡협동농장은 황해북도 사리원시에 위치해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절인 2000년대 모내기 방법 개선, 유기농법 도입 등으로 ‘모범농장’으로 평가받았다. 김 위원장이 ‘전국의 본보기’로 불렸던 미곡협동농장을 언급하며 이런 발언을 한 것은 시대가 변화한 만큼 새로운 모델 모색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당에서 품 들여 건설하고 있는 이 농장이 과학농사 열풍을 일으키는 데서 기수가 되고 불씨가 되어야 한다"면서 "세계적인 농업과학기술발전추세와 온실남새부문 선진과학기술자료들을 깊이 연구하고 우리 실정에 맞게 적극 도입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산간지대의 군들은 삼지연군과 같은 기준으로 건설하며 농촌마을은 경성군 중평 남새온실농장마을 수준으로 건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계절과 관계없이 신선한 채소를 공급할 수 있는 과학농사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최근 국제사회에서 언급된 북한의 식량난과도 연관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김 위원장은 최근 '백마'를 타고 백두산과 삼지연군을 시찰해 눈길을 끌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백마를 탄 김 위원장의 모습이 웃통을 벗은 채 말을 타던 러시아 푸틴 대통령을 연상시킨다"고 전하며 주목했다.
그동안 김 위원장은 국정운영과 관련된 중요 결정을 앞두고 백두산을 찾았다. 그런 그가 이번 백두산 방문에서 "미국을 위수로 하는 반공화 적대세력들이 강요해온 고통이 분노로 변하고 있다"고 언급하자, 국제사회에선 이번 백두산행이 북한의 대미노선에 변화가 생기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0/18/20191018090757982165.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함경북도 경성군의 중평남새온실농장과 양묘장 건설장을 시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