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및 IT 기업의 경우 개인 예금·송금, 투자관리 등을 집중 겨냥하면서 글로벌 뱅킹 수익의 45%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전통적인 은행 고객은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보고서는 "투자심리 악화, 성장세 둔화 등으로 뱅킹 산업은 업황 사이클의 후반기에 접어들고 있다"며 "혁신을 이루지 못한다면 전세계 은행의 3분의 1이 다음 사이클 전에 소멸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AI 기반으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아웃소싱을 통한 비용 절감,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고객 기반 파악 등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산운용 분야에서도 AI, 특히 머신러닝 기술이 자산가격 예측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에게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주는 로보어드바이저도 대중화됐다. 권민경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AI 도입은 향후 자산운용 서비스의 고도화 및 대중화를 진전시킬 것"이라며 "금융회사들은 AI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각각의 기술들이 어떤 영역에서 가장 잘 작동할 수 있을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책 당국은 신기술 등장에 따른 변화 방향을 읽고, 기술 도입 과정에 있어 기존 제도와 규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기 않도록 정비해야 한다"며 "금융소비자들은 막연한 기대감으로 AI 상품을 맹신할 게 아니라, AI가 정말로 해당 서비스에 유용하게 쓰일지 판단해 옥석을 가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AI는 금융·자본시장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다. 이에 30일 데일리동방은 '금융 AI시대 열렸다'를 주제로 주요 금융회사들의 AI 서비스 등에 대해 살펴봤다.
[데일리동방] 주식투자와 자산관리에도 AI와 빅데이터가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AI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해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미래에셋대우는 증권업계 최초로 데이터사이언티스트만으로 구성된 빅데이터 전담 조직을 만들고, 투자자가 선호하는 AI서비스를 지속 출시해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개인화 추천서비스에 가장 중점을 두고 △빅데이터 상품 추천서비스 △뉴스로 종목포착 서비스 △닥터빅(Dr.Big) 등을 출시했다.
빅데이터 상품 추천서비스는 국내주식 뿐만 아니라 해외주식, 펀드·연금, 상장지수펀드(ETF) 등 다양한 자산군의 상품을 맞춤형으로 추천한다. 이 서비스의 이용자 수는 지난해 말 대비 4배 이상 증가했으며, 추천 상품의 수익성과가 벤치마크를 웃돌고 있다.
올해 7월 출시된 뉴스로 종목포착 서비스는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뉴스 속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관련 종목의 상승·하락 확률과 예상 가격 범위, 주요 키워드를 제공한다. 닥터빅의 투자 진단 서비스는 투자자의 주식투자패턴을 투자 고수와 비교해 강점과 보완해야 할 점을 평가받을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또 ‘스팸뉴스필터링 서비스’ ‘해외뉴스 번역 서비스’ 등을 출시해 투자자의 투자정보 취득 편의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하고 있다. 스팸뉴스필터링 서비스는 AI를 기반으로 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자동으로 스팸성 뉴스를 걸러준다.
AI가 뉴스의 맥락을 인식해 정상뉴스와 스팸뉴스를 다각도로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지난 9월 출시한 해외뉴스 번역서비스도 주목할 만하다. 이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매체에 공급되는 뉴스량은 10배가 증가했다.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 주식시장 개장 시간에도 투자 정보가 한글로 실시간 제공된다. 이외에도 미래에셋대우는 AI를 기반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투자자가 보유한 모든 금융자산과 부동산까지 한 번에 모아 분석하고, 맞춤형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을 받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김범규 미래에셋대우 디지털혁신본부장은 "그동안 비대면계좌 무료수수료 등 가격 정책에 집중했으나, 이제는 AI를 통한 디지털 서비스 혁신으로 전환하고 있다"며 "미래에셋대우는 다양한 방면에서 AI를 활용한 양질의 서비스를 출시해 투자자 만족도와 수익률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