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 정책 수장들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만만치 않은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저성장·저금리가 장기화하고 있는 데다, 인구·산업구조의 전환 등 구조적인 과제도 산적해 있다는 진단이다.
이들은 "혁신금융만이 살길"이라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다만 지난해 금융권을 강타했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를 의식한 듯 '포용금융'을 화두로 내세웠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일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0년 범금융 신년인사회'에서 "지난 10년이 세계화와 정치·경제 지형의 격동기였다면 앞으로의 10년은 인구구조와 기술·산업 구조의 대전환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고령층이 생애에 걸쳐 축적한 자산을 어떻게 관리하고 운용할 것인가에 따라 우리 경제의 미래 모습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축적된 자원이 혁신·신성장 부문으로 배분돼 성장동력 확충에 쓰일 수 있도록 금융산업이 물꼬를 터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권 수장들은 지난해 강조했던 '혁신금융'을 이번에도 화두로 제시했다. 다만 올해에는 '포용금융'에 무게를 둔 분위기였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경기 반등, 성장 회복을 위해 금융이 경제의 혈맥으로서 든든한 지원군이 돼 달라"며 "도전에 따른 위험을 적절히 분산하는 모험자본 공급, 서민금융 공급·채무조정 지원 등 포용금융에 대해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올해 금융위는 약 60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혁신금융과 포용금융의 확산을 위해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도 "오픈뱅킹 등 금융플랫폼의 혁신은 금융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며 급변하는 기술환경 변화에 대응해야 함을 강조했다. 다만 윤 원장은 "소비자보호 부재로 소비자 피해가 이어지면서 금융에 대한 신뢰 훼손이 우려되고 있다"며 "'책임있는 혁신'으로 대응하면서 포용금융을 적극 펼쳐 금융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들은 "혁신금융만이 살길"이라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다만 지난해 금융권을 강타했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를 의식한 듯 '포용금융'을 화두로 내세웠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일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0년 범금융 신년인사회'에서 "지난 10년이 세계화와 정치·경제 지형의 격동기였다면 앞으로의 10년은 인구구조와 기술·산업 구조의 대전환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고령층이 생애에 걸쳐 축적한 자산을 어떻게 관리하고 운용할 것인가에 따라 우리 경제의 미래 모습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축적된 자원이 혁신·신성장 부문으로 배분돼 성장동력 확충에 쓰일 수 있도록 금융산업이 물꼬를 터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경기 반등, 성장 회복을 위해 금융이 경제의 혈맥으로서 든든한 지원군이 돼 달라"며 "도전에 따른 위험을 적절히 분산하는 모험자본 공급, 서민금융 공급·채무조정 지원 등 포용금융에 대해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올해 금융위는 약 60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혁신금융과 포용금융의 확산을 위해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도 "오픈뱅킹 등 금융플랫폼의 혁신은 금융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며 급변하는 기술환경 변화에 대응해야 함을 강조했다. 다만 윤 원장은 "소비자보호 부재로 소비자 피해가 이어지면서 금융에 대한 신뢰 훼손이 우려되고 있다"며 "'책임있는 혁신'으로 대응하면서 포용금융을 적극 펼쳐 금융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