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이 푸르덴셜생명보험 인수전에 총력을 다한다. 예비입찰에 앞서 계열 보험사인 KB생명의 영업조직을 없애는 초강수까지 뒀다. 인수에 성공할 경우 두 설계사 영업조직간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푸르덴셜생명 예비입찰이 이날 마감됐다. 이날 KB금융지주와 MBK파트너스 등 사모펀드(PEF) 다수가 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에서도 KB금융그룹의 기세가 심상치 않다. KB금융그룹의 계열 생명보험사인 KB생명보험은 예비입찰이 시작되기 전부터 푸르덴셜생명과의 장기적인 합병을 염두에 두고 조직 개편을 단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KB생명은 지난해 말 푸르덴셜생명이 매각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알려졌을 무렵 전통적인 설계사 영업조직의 완전 폐쇄를 결정했다. 현재 KB생명은 전통적 설계사 영업조직을 없애고 소속 설계사 대부분을 '하이브리드(Hybrid)' 영업조직으로 이동시킨 상태다.
전통적 영업조직이 설계사 스스로 고객을 개척해 보험을 판매한다면, 하이브리드 영업조직은 설계사가 보험사로부터 고객 데이터베이스(DB)를 넘겨받아 영업을 추진한다. 회사의 DB로 전화 상담만 하는 텔레마케팅(TM) 채널과 전통적 설계사의 영업방식이 통합됐다는 의미로 하이브리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KB생명의 이 같은 조직 개편은 이번 푸르덴셜생명 혹은 향후 다른 대형 생보사 인수·합병을 감안한 결정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KB금융그룹의 최근 목표인 생보사 M&A를 감안한 조직 개편이라는 의미다. 최근 KB금융그룹은 다른 권역보다 다소 미진한 점이 있는 생명보험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수·합병(M&A)에 나설 수 있다고 의사를 밝혀왔다.
KB금융그룹이 푸르덴셜생명 혹은 이와 유사한 대형 생보사 M&A에 성공한다면 중장기적으로 합병을 염두에 둘 수밖에 없다. 한 금융그룹에서 두 생보사를 운영하는 경우 시너지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불필요한 마찰·경쟁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합병을 감안한다면 규모가 크고 수익성이 높은 푸르덴셜생명(지난해 누적 3분기 순익 1465억원)이 KB생명(130억원)을 흡수하는 모양새가 되기 쉽다. 특히 설계사 조직에서는 생보사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했다고 평가받는 푸르덴셜생명의 조직 위주로 편성될 가능성이 높다.
설계사 규모만 놓고 보더라도 지난해 9월 말 기준 푸르덴셜생명의 전속 설계사가 1982명인 반면 KB생명은 216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 경우 KB생명 설계사들이 내부반발을 일으킬 수 있기에, 이번 조직 개편으로 미리 '교통정리'를 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KB생명 측은 M&A와 조직 개편이 무관하다는 설명이다. 전통적인 설계사 영업조직의 완전 폐쇄는 지난해 1년 동안 계속 검토·추진된 방안이라 푸르덴셜생명과 직접적 연관이 없을뿐더러, 이유 역시 영업 채널의 단순화라는 설명이다.
KB생명 관계자는 "전통적 설계사 조직을 유지하느라 너무 많은 돈을 쓰고 있다는 판단에서 조직을 개편한 것"이라며 "M&A와 관련된 의도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KB금융그룹 안팎에서는 다른 경쟁 생보사 대부분이 유지하는 전통적 설계사 조직을 완전히 없애기로 한 것이 결국 M&A와 연관된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른 KB금융 관계자는 "전통적 설계사 조직은 인수할 푸르덴셜생명의 조직을 키워주고, 기존 KB생명 설계사들은 하이브리드 영업 전문가로 육성하면 서로 마찰 없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전략"이라며 "푸르덴셜생명 등 생보사 M&A에 성공한다는 전제로 조직 개편을 단행한 것 같다"고 말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푸르덴셜생명 예비입찰이 이날 마감됐다. 이날 KB금융지주와 MBK파트너스 등 사모펀드(PEF) 다수가 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에서도 KB금융그룹의 기세가 심상치 않다. KB금융그룹의 계열 생명보험사인 KB생명보험은 예비입찰이 시작되기 전부터 푸르덴셜생명과의 장기적인 합병을 염두에 두고 조직 개편을 단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KB생명은 지난해 말 푸르덴셜생명이 매각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알려졌을 무렵 전통적인 설계사 영업조직의 완전 폐쇄를 결정했다. 현재 KB생명은 전통적 설계사 영업조직을 없애고 소속 설계사 대부분을 '하이브리드(Hybrid)' 영업조직으로 이동시킨 상태다.
KB생명의 이 같은 조직 개편은 이번 푸르덴셜생명 혹은 향후 다른 대형 생보사 인수·합병을 감안한 결정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KB금융그룹의 최근 목표인 생보사 M&A를 감안한 조직 개편이라는 의미다. 최근 KB금융그룹은 다른 권역보다 다소 미진한 점이 있는 생명보험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수·합병(M&A)에 나설 수 있다고 의사를 밝혀왔다.
KB금융그룹이 푸르덴셜생명 혹은 이와 유사한 대형 생보사 M&A에 성공한다면 중장기적으로 합병을 염두에 둘 수밖에 없다. 한 금융그룹에서 두 생보사를 운영하는 경우 시너지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불필요한 마찰·경쟁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설계사 규모만 놓고 보더라도 지난해 9월 말 기준 푸르덴셜생명의 전속 설계사가 1982명인 반면 KB생명은 216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 경우 KB생명 설계사들이 내부반발을 일으킬 수 있기에, 이번 조직 개편으로 미리 '교통정리'를 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KB생명 측은 M&A와 조직 개편이 무관하다는 설명이다. 전통적인 설계사 영업조직의 완전 폐쇄는 지난해 1년 동안 계속 검토·추진된 방안이라 푸르덴셜생명과 직접적 연관이 없을뿐더러, 이유 역시 영업 채널의 단순화라는 설명이다.
KB생명 관계자는 "전통적 설계사 조직을 유지하느라 너무 많은 돈을 쓰고 있다는 판단에서 조직을 개편한 것"이라며 "M&A와 관련된 의도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KB금융그룹 안팎에서는 다른 경쟁 생보사 대부분이 유지하는 전통적 설계사 조직을 완전히 없애기로 한 것이 결국 M&A와 연관된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른 KB금융 관계자는 "전통적 설계사 조직은 인수할 푸르덴셜생명의 조직을 키워주고, 기존 KB생명 설계사들은 하이브리드 영업 전문가로 육성하면 서로 마찰 없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전략"이라며 "푸르덴셜생명 등 생보사 M&A에 성공한다는 전제로 조직 개편을 단행한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