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30일 이같은 내용의 '2019년 금융소비자 보호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연령·지역·성별로 비례 배분, 임의추출된 전국 만 19~69세 국민 1045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주요 금융 취약계층인 ‘고령층’(6명), ‘장애인’(7명), ‘청년층’(7명)을 그룹별로 나눠 인터뷰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30.5%가 금융상품·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불만족·불합리한 처우를 받았다고 답변했다. '금융회사가 소비자 보호에 노력한다'는 응답에 37.9%만 동의했다.
금융사의 행태·윤리의식에 대해선 매우 부정적이었다. 75.7%가 '사고·피해 발생 시 책임지지 않음'이라고 답변했고 73.0%는 '상품판매 후 고객에게 신경 쓰지 않음'이라고 응답했다.
금융사 광고에 대한 인식도 비판적이었다. 응답자의 80.5%는 금융회사 광고가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돼 있다고 생각했다.
구조가 어려운 상품을 이용한 사람 중 43.1%는 금융사 직원들이 '설명은 대충 하면서 서류에 필요한 서명부터 우선 안내'한다고 꼬집었다.
고령층이나 장애인, 청년층 등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 역시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소비자 보호를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체가 누구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5.4%는 금융당국을 지목했다.
정부가 소비자 보호에 노력한다는 응답율은 노력하지 않는다는 응답율(40.5%) 보다 높은 59.5% 수준이며, 작년의 긍정적 응답(56.1%)보다 소폭 증가(3.4%포인트)했다.
소비자 보호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공정하고 이해하기 쉬운 약관'이라는 응답이 54.5%를 차지했다.

국민 대다수는 금융사가 소비자 보호를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금융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