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 ‘기생충’이 미국 아카데미의 역사를 새로 썼다. 현지시각으로 2월 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작품상, 감독상을 비롯해 4개 부문 상을 거머쥐는 쾌거를 올렸다. 아카데미 역사상 비영어권 영화가 작품상을 수상한 건 처음이다. 그동안 ‘백인 남성 중심’이라는 비판을 받아 온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기생충’의 수상은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봉준호 감독과 한국영화 산업'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는 제이슨 베셔베이스(Jason Bechervaise) 숭실사이버대학교 연예예술경영학과 특임교수는 “솔직히 말씀드리면 ‘1917’이 작품상을 수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감독상 또한 (‘1917’의) 샘 맨데스 감독에게 무게가 많이 실렸는데 봉준호 감독이 상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놀랐다. 그 순간 기생충이 작품상까지 거머쥘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애초의 예상은 빗나갔지만 틀려서 오히려 기쁘다.“며 소감을 전했다.
미국 블룸버그BNA(Bloomberg BNA)의 켈리 카슬리스(Kelly Kasulis) 기자는 ”(SNS에) 영어권 유저들이 작품상 수상자 발표를 기다리면서 기생충이 받기를 바란다는 글들이 많이 올라왔다. 하지만 지난 몇 주간 국내와 해외의 많은 영화 전문가들이 작품상 수상은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를 들은 바 있어서 조금 비관적이었다. ‘기생충’은 뛰어난 작품이지만 외국어 영화이고 보수적인 아카데미의 성향을 고려했을 때 그렇게 파격적인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봉준호 감독이 ‘한국적인 것들로 가득 찬’ 내용으로 만들었다고 말했지만, ‘기생충’은 ‘1인치의 장벽’을 넘어 세계 영화 평단과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덕분에 영화 속에 나오는 ‘짜파구리’와 ‘제시카 송’부터, 배우들의 눈을 가린 포스터까지 영화 팬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다. ‘기생충’이 이토록 세계적으로 사랑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 영화진흥위원회의 영문에디터 피어스 콘란(Pierce Conran) 평론가는 ‘기생충’에 대해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두려움을 잘 표현하고 그러한 시대정신을 정확하게 짚은 영화다. 한국과 미국을 넘어서 전 세계의 현대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그런 내용이다.“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최근 들어서 많은 해외 평론가들이 한국영화에 큰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고 뛰어난 작품이 나올 때마다 그쪽으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물론 ‘기생충’처럼 많은 상을 받지는 못했지만 ‘곡성’ 또한 칸 영화제 역사상 가장 많은 평론가들의 사랑을 받은 영화로 거듭났다. 또한 봉준호 감독은 이미 걸출한 작품들을 많이 남겼고 ‘옥자’와 ‘설국열차’ 등을 통해 미국영화사와 손을 잡은 경력도 있다. 사전에 인지도를 많이 쌓았기에 ‘기생충’이 이런 반응을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기생충’의 수상 원인을 분석했다.
켈리 카슬리스(Kelly Kasulis) 기자는 “한국영화의 국제적인 위상은 생각보다 느린 속도로 발전했지만 그래도 꾸준했기에 이런 결과는 시간문제라고 봤다. 또한 ‘기생충’의 개봉 타이밍도 절묘했다. 수년 전에 비해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는 전 세계적으로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케이팝, 한국 드라마, 한국 음식, 케이뷰티 등등의 인기에 한국영화도 힘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많은 세계인들이 문화적 감명을 얻고자 한국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다.”며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해외의 관심을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 영화계의 미래가 앞으로도 장밋빛일 지는 미지수다. 일각에선 스크린 편중과 관객 쏠림 현상, 독립 영화에 대한 지원 미비 등 한국 영화 시장이 가진 고질적 문제로 인해 제2의 봉준호, 제2의 ‘기생충’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이슨 베셔베이스(Jason Bechervaise) 교수는 “한국영화는 국내에서 매년 1억 명이 넘는 관객을 끌어 모으고 있고 국내시장 점유율이 50%를 넘는데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매운 드문 사례다. 할리우드 영화와 직접 경쟁하고 이길 수 있는 산업이다.”라며 향후 한국 영화의 미래를 낙관했다. 그러면서도 “봉준호 감독이 처음 데뷔했을 때와 비교해서 시장 환경이 대기업 중심으로 바뀌어서 젊은 감독들이 좀처럼 기회를 얻기에 어려워졌다.”며 한국 영화계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외신기자들과 국내외의 뜨거운 이슈에 대해 토론하는 '포린 코레스폰던츠(Foreign Correspondents)'는 매주 화요일 PM 22:35에 방송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