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예금 금리가 연 2%대에 머무는 초저금리 시대다. 이제는 적금으로 재산을 형성하기가 매우 어렵다. 가뜩이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주식시장이 불안한 상황이다. 이럴 때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테크(금+재테크)'가 대안으로 떠오른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금시장에서 금 1g당 가격은 지난달 25일 기준 6만3550원으로 1개월 만에 9.3%가 상승했다. 지난달 27일 기준 국제 금 현물 가격도 온스당 1642.19달러로 2013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금값 고공행진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더욱 강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펀드 수익률 반짝
안전자산 수요가 늘면서 금펀드 수익률도 상승세다. 증권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금펀드는 연초 이후 1일까지 7.59%에 달하는 수익을 거뒀다. 오래 묵힐수록 좋은 성과를 냈다. 1년 사이 수익률은 25.05%에 달한다. 2년과 5년 수익률도 21.22%와 20.71%를 기록했다. 국내주식형펀드(-6.52%)는 올 들어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김소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금 수요가 여전히 늘어나고 있다"며 "향후 금값은 코로나19가 진정돼도 추가 상승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골드만삭스는 보고서를 통해 금을 안전자산 중에서도 '최후의 보루'라며 가격 전망치를 온스당 1800달러까지 끌어올렸다. 지난달 26일 오후 3시 41분(미국 뉴욕시간) 기준 금값은 온스당 1643달러였다. 금값은 올 들어서만 8% 넘게 올라 7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골드만삭스는 "바이러스 효과가 2분기 확산될 것"이라며 12개월 후 금값 전망치를 이전보다 200달러 높여 온스당 1800달러로 상향했다.
◆장단점 알고 투자해야
금 가격이 상승했다 해도 '금테크'에 나서기 전엔 자신의 투자방향에 맞는 상품을 골라야 낭패를 막을 수 있다. 먼저 골드바나 금반지, 금팔찌 등 금으로 만들어진 실물에 투자하는 건 말 그대로 금 시세 변동에 따라 차익을 얻는 구조다. 상속세와 증여세, 금융소득 종합과세 등에서 제외되는 만큼 절세 혜택이 가장 큰 장점이다. 세금 부담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자산가들이 선호하는 투자 방식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여기서 단기 투자 목적의 소액 투자자들이 접근하는 방법으로는 적절치 않다. 당장 금을 실물로 구매할 때 10%의 부가가치세를 비롯해 판매사에도 일부 수수료를 내야 한다.
가령 1㎏짜리 골드바가 50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이 골드바를 살 때 10%에 해당하는 500만원의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여기에 판매사에 지급하는 수수료까지 감안하면 골드바를 사는 순간부터 -10% 이상인 상태에서 투자를 시작하는 셈이다.
주요 시중은행들이 판매하고 있는 골드뱅킹 투자도 눈여겨보아야 한다. 골드뱅킹이란 고객이 은행 계좌에 돈을 넣으면 국제 금 시세와 환율에 맞춰 해당 금액만큼 금을 계좌에 적립해 주는 일종의 '금 통장'이다. 0.01g 단위로 거래할 수 있어 소액 투자자가 쉽게 금 투자를 할 수 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모바일뱅킹으로 쉽게 거래할 수 있고, 언제든지 쉽게 현금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골드뱅킹 투자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금 가격이 국제 시세를 따르기 때문에 금 가격뿐 아니라 환율 영향도 받는다. 원‧달러 환율이 내리면 금 가격이 올라도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 매매 차익에 대해 15.4%의 이자배당소득세가 붙고, 예금자보호도 되지 않는다.
강송철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금은 돈이 갈 수 있는 유력한 대상 중 하나이므로 길게 보고 투자하는 전략이 좋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