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02/20200302184748937580.jpg)
기자회견하는 이만희 신천지 총회장. [사진=연합뉴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절반 이상이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이하 신천지) 관련자로 확인된 가운데 정부가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와 신천지의 연관성에 대한 조사에 속도를 낸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중국에서 입국한 신천지 신도에 대해 집중 분석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정부는 신천지에 대한 강제수사를 시작하는 것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일 오후 4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오후 4시보다 599명 늘어 4335명이다. 이 중 신천지대구교회 관련 사례는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신천지는 말세와 영생을 주장하는 신흥종교다. 이 때문에 기성 기독교에서는 이단으로 분류한다.
그동안 신천지 측은 20만명이 넘는 신도들의 출입국 여부를 일일이 파악하기는 어렵다며 올해 초 중국 우한에서 한국을 방문한 신도는 없었다고 밝혀왔다. 신천지에 따르면 88명 중 39명은 중국으로 다시 출국했고 49명은 한국에 체류 중이며 서울‧경기 지역에서 지내고 있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법무부를 통해 신천지 신도 중 일부가 지난 1월 중국 우한을 방문한 것으로 파악했다.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2월 27일까지 중국 우한을 방문한 신천지 한국인 신도 수가 41명으로 나타났다.
방역당국은 전염병이 확산하기 시작한 1~2월의 기록에 대해 조사를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1월 중순이 우한에서 가장 큰 코로나19 유행이 있었던 만큼 12~1월까지 입국자들을 중점 분석할 것”이라며 “아직 조사를 진행 중이고, 이것이 최초의 발병(감염원)이라고 결론을 내리지 않았지만 하나의 가능성으로 보고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신천지에 대한 강제수사 진행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신천지 신도들이 음성적으로 숨거나 이동이 활발해지면 오히려 방역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자칫 정부의 강압적인 조치로 인해 신천지 신자들이 음성적으로 숨을 수 있다”며 “밝혀지지 않은 이러한 움직임이 확산될 경우 오히려 방역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 않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총괄조정관은 현재까지 신천지 측의 자료 누락이나 비협조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천지에서 제공한 자료가 지방자치단체가 확보한 신천지 명단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기준이 주소지인지 교회인지, 미성년자 포함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을 뿐 현재까지 신천지 제공 정보에서 크게 벗어난 사례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는 신천지 측의 자발적인 협조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만희 신천지 총회장이 이날 오후 경기 가평 평화연수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국민들에게 사과했다. 그러면서도 지금은 시설이 모두 폐쇄돼 협조하기 어렵다는 등 신천지를 향한 각종 지적에 반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