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5년 사이 귀농·귀촌을 한 4167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한 결과 귀농·귀촌 가구 84% 가량은 연고가 있는 곳에 정착했다.
정착 유형을 보면 귀농 54.4%, 귀촌 29.5%는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을 한 이후 연고가 있는 곳으로 다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21.5%, 귀촌 27.7%는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 생활을 한 이후 연고가 없는 농촌을 택했다. 귀농 7.4%, 귀촌 10.8%는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내려갔다.
귀촌·귀농 후 지역 주민과의 관계도 대체로 좋은 것으로 파악됐다.
귀농 가구의 74.7%와 귀촌 가구 56.1%는 ‘지역주민과의 관계가 좋다’고 응답했다. 지역 주민과의 관계가 나쁘다는 응답은 귀농가구 중 1.4%, 귀촌가구 중 1.5%에 불과했다.
귀농·귀촌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은 선입견과 텃세(귀농 56.0%·귀촌 51.5%)로 응답한 가구가 가장 많았다. 이어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귀농 17.0%·귀촌11.1%), 마을공동시설 이용(귀농 11.3%·귀촌 12.1%), 집·토지 문제(귀농 10.4%·귀촌 7.8%) 등의 순이었다.
귀농·귀촌에 삶에 대한 만족도는 큰 편이었다.
귀농 가구 중 57.8%, 귀촌 가구 중 67.0%가 농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각각 답했다.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귀농 가구 7.3%, 귀촌 가구 2.6%에 그쳤다.
불만족의 이유로는 귀농은 영농 기술과 경험 부족(28.5%), 자금 부족(27.8%) 등을, 귀촌은 자금 부족(43.3%), 영농 기술과 경험 부족(30.0%) 등을 꼽았다.
이들 가구는 확충이 필요한 공공서비스로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들었다. 이어 취약계층 일자리, 노인돌봄서비스, 교통서비스 등이 뒤따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귀농·귀촌 실태 조사를 토대로 연령대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 등 면밀한 정책 보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