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의원은 이날 오후 서울 중·성동갑에 출마하는 진수희 통합당 후보의 성동구 선거사무실을 방문, 유튜브 영상을 함께 찍으며 이런 의지를 밝혔다. 유 의원은 진 후보와의 대담에서 "공천이 끝나고 선거에 들어가니까 저는 타이틀 없이 백의종군, 후보님들에게 도움이 되는 건 뭐든지 하겠다"고 했다. 진수희 후보는 지난 대선 유승민 바른정당 대통령 후보 캠프의 총괄본부장을 맡았다.
유 의원은 "공천이 끝났다. 공천이 잘 됐든, 잘못됐든 이젠 선거를 시작하니까 이번에 꼭 당선이 되시도록 힘을 다하겠다"며 "저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제가 도움이 되는 후보가 있으면 언제든지 도우려고 한다"고 했다. 유 의원은 당내 계파 등과 관련해서도 "아무것도 따지지 않고 지원 요청을 하는 후보가 있으면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유 의원은 통합당의 공천과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 선임과 관련된 입장을 묻는 질문엔 "없다"고 짧게 말했다.
진 후보는 "왕십리 뉴타운에 거의 6000세대가 산다. 30~40대 젊은 층이 굉장히 많이 산다"며 "입주자 대표를 만났는데 그분이 앉자마자 '저는 바른정당이 잘 되길 바랐다'고 해서 향수에 젖었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나 부동산 문제 등에 대해 유 의원이 와서 말씀해주시면 훨씬 더 설득력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유 의원은 이에 "간담회를 해도 좋다. 30~40대 교육이나 세금,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많은 시간에 가서 해보자"고 했다. 아울러 지역구 내에 위치한 한양대학교 학생들과 만남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진 후보는 "정치가 아무리 욕을 먹어도 세상을 바꾸는 것은 정치다. 그게 우리가 정치를 하는 이유다"라고 한 유 의원의 말을 인용하며 "저는 마지막 도전이자 봉사의 기회로 생각하고 국민 여러분 앞에 나섰다. 제 진정성과 제 진심을 부디 받아주시고, 기회를 주신다면 중·성동구 지역 발전은 물론이고 잘못 가는 대한민국을 바로잡는 일에 제가 그동안 쌓아온 모든 능력과 경험과 온 진심을 다해서 일을 하겠다"고 했다.
유 의원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위기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특히 정부여당이 추진 중인 긴급재난수당과 관련, "여야, 보수·진보를 떠나서 이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그런 방향과 원칙을 잘 세워야 한다"며 "모든 국민들한테 10만원씩 주는 것보다 꼭 필요한 사람에게 100만원을 주는 게 맞는 거다. 기업 도산을 막아야 한다. 실업이나 취업 지원이 굉장히 중요해지니 그런 쪽으로 가닥을 잡아서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유 의원은 모든 국민에게 돈을 주는 방식과 관련, "굉장한 악성 포퓰리즘이다. 선거가 20일도 안 남았다. 정부가 선거를 보고 돈을 푸는 정책, 어디에 얼마를 쓸 것인지 선거만 보고 정했다가는 선거 이후에 정책을 수정하고 굉장한 낭패를 볼지 모른다"고 했다.
유 의원은 "돈을 그냥 줄 것인지, 회수할 수 있게 빌려줄 것인지, 지금 세금을 더 거둘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재원은 국채 발행으로 마련해야 되는데 그런 원칙을 정하는 게 중요하다"며 "기존 사회안전망을 굉장히 크게 확대한다는 개념으로 진짜 어려운 사람한테는 정부가 그냥 주는 게 맞고,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은 나중에 사업이 잘되고 경제가 회복되면 돌려받는, 그런 원칙을 정해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책임감을 갖고 추진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유 의원은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다. 지금의 경제 대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 통합당도 정부가 합리적 대책을 갖고 나오면 이때는 힘을 받쳐주는 게 좋겠다"며 "방역에서도 힘을 합치듯이 경제도 힘을 합칠 때다. 표만 보고 하는 악성 포퓰리즘은 걷어냈으면 좋겠다"고 했다.
유 의원은 컨트롤타워인 홍 부총리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지금 홍 부총리가 잘하든 못하든, 홍 부총리에게 완전히 맡겨야 한다. 청와대 정책실장이 옆에서 간섭하고, 당 대표(이해찬)나 시·도지사가 나서서 (간섭해선 안 된다)"며 "컨트롤타워에 확실한 책임과 권한을 주면 홍 부총리와 기재부 공무원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일을 잘할 거라고 본다"고 했다.
진 후보는 "그랬으면 좋겠는데 이 정부는 총선을 의식하고 있다"며 "경제를 경제로 풀어야 하는데 정치적으로 선거를 고려하면 이상한 방향으로 갈 것 같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