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30일 이런 내용의 P2P업 감독규정 및 시행세칙 제정안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기존 금융업 수준의 건전성과 신뢰성을 갖춘 경우에만 P2P업 등록이 가능하다.
만약 사기 등 범죄가 의심되어 소송‧수사‧검사 등이 진행중인 경우 P2P업 등록 심사를 보류할 수 있으며 등록 신청시 연체상태에 있는 연계대출 채권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관리방안도 제출해야 한다.
아울러, P2P법 시행 후 기존에 영업중인 P2P업체들의 미등록‧불건전 영업행위가 최소화되도록 ‘P2P대출 가이드라인’을 법령과 최대한 동일한 수준으로 개정할 계획이다.
P2P업체가 연체‧부실 위험이 높은 대출을 취급해 발생하는 투자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연체율이 높아지면 일부 영업방식이 제한되거나 공시‧관리 의무가 부여된다. 투자자 보호등을 위해 P2P플랫폼에서 취급할 수 없는 고위험 상품의 유형을 규정했다.
P2P업체들의 영업현황‧재무현황‧지배구조‧특수관계인과의 거래등을 분기별(연계대출‧연계투자현황은 월별 보고)로 감독기관에 보고할 의무를 구체화했으며 차입자에게 수취하는 P2P 플랫폼 수수료는 대부업법의 최고이자율(24%) 제한 규정을 적용 받는다.
금융위 관계자는 "P2P업체들의 건전한 영업관행과 이해상충방지체계가 충분히 정착될 때까지 금융투자업 등은 제외하고 겸영업무가 허용될 예정"이라며 "오는 39일까지 규정제정예고와 규제개혁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금융위원회에 상정‧의결 후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P2P 업체의 등록요건을 강화하고 손해배상책임 준비금을 도입하기로 했다.[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