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고 무작정 소상공인에 비판의 화살을 돌릴 수 없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갑작스럽게 어려움에 부닥친데다,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각종 세금과 임대료 등 돈 나갈 일은 태산인데, 손님의 발길은 뚝 끊겼다. 지난 10일 소상공인연합회가 발표한 설문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매출액이 0원이라고 답한 소상공인은 전체 응답자의 15.8%에 달한다. 직접대출로 1000만원이라도 마련해야 간신히 일터를 지킬 수 있다.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힘겨운 몸부림이다.
이는 그간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부족했던 것이 코로나19로 일시에 터진 문제다. 소상공인은 소비자를 직접 마주하는 시장 최전선에 있으며 그 비중도 크나, 경제 영역에서는 변방에 머물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우리나라 자영업자 비중은 25.1%로, OECD 평균인 15.3%보다 10%포인트 이상 높다. 그럼에도 소상공인 정책은 최근까지 중소기업 정책의 일부로만 다뤄졌다. 기본법도 막 마련된 참이다. 정책적 고려가 미비했기에 위기 앞에서 속수무책이다.
지금 당장의 대출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력 지원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전국 소상공인은 630만명가량인 반면 소진공 직원은 600명이다. 이에 대해 소진공 관계자는 "직원 1명당 1만명을 담당하는 꼴"이라고 평가했다. 제아무리 뛰어난 직원이라도 업무에 지장이 생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