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주재하고, 당 간부 인사 문제를 심의·승인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자신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복귀시키고, 지난해 말 군 총참모장으로 임명된 박정천을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시켰다. 신임 외무상인 리선권은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보선했다.
이번 인사에서 주목한 부문은 김 제1부부장의 정치국 후보위원 복귀와 박 총참모장의 승진이다. 특히 박 총참모장이 정치국 위원으로의 승진은 ‘김정은식(式)’ 인사의 특징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났다는 평가다.
박 총참모장은 2012년 포병사령부 사령관으로 인민군 소장부터 중장을 거쳐 2013년 4월에 인민군 상장으로 승진했다. 2014년에는 총참모부 부총참모장과 화력지휘국장으로 임명됐다.
그러다 2015년 2월에는 인민군 상장에서 소장으로 강등됐다가 2017년 다시 인민군 상장으로 올라섰다. 2019년에는 인민군 상장에서 대장으로, 인민군 포병국장 자리에 있다가 북한군 서열 2위인 총참모장 자리에 올랐다.
정통 포병 출신인 그가 남한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총참모장에 오른 데 이어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한 것이다. 과거 북한의 총참모장에는 대부분 군단장이나 총참모부 작전국장 등 정통 야전군 출신들이 임명됐었다.
이를 두고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박정천의 정치국 위원 보선은 파격보다는 총참모장으로서 걸맞은 대우로 볼 수 있다”며 “김정은 위원장의 신임이 두터운 것이 반영된 인사”라고 해석했다.
홍 실장은 “박 총참모장은 지난해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에 28차례나 수행했다. 이는 군 시찰 이외에도 군 경제 부분 행사에 총정치국장보다 더 많이 수행한 것”이라며 “이외에도 각종 준공식, 조업 행사에도 동행했다”고 설명했다.
또 ‘초대형 방사포’ 등 북한의 새 무기들의 시험발사가 연이어 ‘성공’한 것에 따른 보상 인사라는 분석도 있다. 아울러 북한이 자위적 국방력 강화 명분으로 포병 전력 향상에 주력하는 것이 반영된 인사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포 사랑’이 반영됐다는 주장도 있다. 김 위원장은 김일성군사종합대학 특설반에서 포병을 전공했다.
한편 지난 1월 신임 외무상으로 임명된 리선권도 이날 정치국 후보위원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전임자인 리용호가 차지했던 정치국 위원까지는 오르지 못했다. 외교경력이 사실상 거의 없는 리선권이 향후 ‘외교 성과’에 따라 단계적인 절차를 밟을 것이란 전망이다.
홍 실장은 “리선권 외무상의 정치국 후보위원 보선은 대외협상을 담당하는 수장에 대한 당적 권위를 부여하는 측면에서 당연직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파격적인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군 출신’ 리선권의 외무상 임명이 나름 파격적이었던 만큼 “김정은 위원장의 인물적인 ‘신뢰’에 기반하고 있음을 이번 인사를 통해 엿볼 수 있다”고 풀이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자신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복귀시키고, 지난해 말 군 총참모장으로 임명된 박정천을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시켰다. 신임 외무상인 리선권은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보선했다.
이번 인사에서 주목한 부문은 김 제1부부장의 정치국 후보위원 복귀와 박 총참모장의 승진이다. 특히 박 총참모장이 정치국 위원으로의 승진은 ‘김정은식(式)’ 인사의 특징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났다는 평가다.
박 총참모장은 2012년 포병사령부 사령관으로 인민군 소장부터 중장을 거쳐 2013년 4월에 인민군 상장으로 승진했다. 2014년에는 총참모부 부총참모장과 화력지휘국장으로 임명됐다.
정통 포병 출신인 그가 남한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총참모장에 오른 데 이어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한 것이다. 과거 북한의 총참모장에는 대부분 군단장이나 총참모부 작전국장 등 정통 야전군 출신들이 임명됐었다.
이를 두고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박정천의 정치국 위원 보선은 파격보다는 총참모장으로서 걸맞은 대우로 볼 수 있다”며 “김정은 위원장의 신임이 두터운 것이 반영된 인사”라고 해석했다.
홍 실장은 “박 총참모장은 지난해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에 28차례나 수행했다. 이는 군 시찰 이외에도 군 경제 부분 행사에 총정치국장보다 더 많이 수행한 것”이라며 “이외에도 각종 준공식, 조업 행사에도 동행했다”고 설명했다.
또 ‘초대형 방사포’ 등 북한의 새 무기들의 시험발사가 연이어 ‘성공’한 것에 따른 보상 인사라는 분석도 있다. 아울러 북한이 자위적 국방력 강화 명분으로 포병 전력 향상에 주력하는 것이 반영된 인사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포 사랑’이 반영됐다는 주장도 있다. 김 위원장은 김일성군사종합대학 특설반에서 포병을 전공했다.
한편 지난 1월 신임 외무상으로 임명된 리선권도 이날 정치국 후보위원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전임자인 리용호가 차지했던 정치국 위원까지는 오르지 못했다. 외교경력이 사실상 거의 없는 리선권이 향후 ‘외교 성과’에 따라 단계적인 절차를 밟을 것이란 전망이다.
홍 실장은 “리선권 외무상의 정치국 후보위원 보선은 대외협상을 담당하는 수장에 대한 당적 권위를 부여하는 측면에서 당연직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파격적인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군 출신’ 리선권의 외무상 임명이 나름 파격적이었던 만큼 “김정은 위원장의 인물적인 ‘신뢰’에 기반하고 있음을 이번 인사를 통해 엿볼 수 있다”고 풀이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