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여사는 23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부인 브리지트 마크롱 여사와 전화통화를 하고 코로나19 피해에 대한 위로를 전하고 양국 협력의 뜻을 모았다.
김 여사는 지난 22일 마크롱 여사의 요청으로 오후 6시 30분부터 약 40분간 전화 통화를 했다고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이 밝혔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프랑스 국빈 방문 등 네 차례 만남을 가진 두 여사는 이날 격의 없이 의견을 나눴다.
먼저 김 여사는 최근 프랑스 내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 데 대해 애도와 위로의 말을 전했다.
아울러 최근 프랑스 정부가 주선한 항공편을 통해 아프리카 등 제3국에 발이 묶여 있던 우리 국민들이 무사 귀환할 수 있었다며 프랑스 측 지원에 감사를 표했다.
마크롱 여사는 한국 정부가 신속하고 투명하게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다는 점과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총선을 모범적으로 실시했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
특히 마크롱 여사는 마스크 착용, 학교 개학, 학부모들의 보육문제 등에 대한 한국의 대처 방안에 깊은 관심을 표했다. 한국의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등 여성들의 눈부신 활동이 매우 인상적이라고도 평가했다.
김 여사는 마스크 부족 문제와 관련해 초반에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정부 관리 하에 공정하고 체계적으로 마스크가 배포되고 있어 국민들의 신뢰가 형성됐다고 답했다.
또 의료진을 포함해 일반 시민들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도 언급했다.
아울러 김 여사는 프랑스가 아프리카 국가들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 공조를 추진하고 있다는 데 깊은 공감과 지지도 표명했다.
이들은 온라인 개학 등 변화된 교육환경 속에서 빈부 격차에 따른 교육 기회의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가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두 여사는 하루 빨리 현재의 어려운 상황이 종식돼 만날 수 있기를 소망하면서 통화를 마무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