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현지시간)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올해 세계 경제 국내총생산(GDP)이 3.9%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피치는 이달 초 제시한 성장률 전망치(-1.9%)를 다시 한번 내려잡으며, 역성장 폭을 2배 가까이 늘렸다.
이날 피치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각국의 봉쇄 조치 연장과 신규 데이터를 반영했다"며 "성장률 하락에 따른 소득 감소분은 2조8000억 달러(약 3443조원)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나라·지역별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이탈리아(-8%)를 포함한 유로존이 -7.0%로 역성장 폭이 가장 컸고, 미국(-5.6%)과 영국(-6.3%)의 성장률 하락 폭도 컸다.
피치는 신흥시장이 적어도 1980년대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할 것이라면서 "원자재 가격 하락, 제한적인 정책 유연성 등이 충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브라이언 쿨턴 피치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코로나19 위기가 진정된 뒤에도 세계 경제가 정상적인 상황을 회복해가는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말했다.
피치는 이달 초 제시한 성장률 전망치(-1.9%)를 다시 한번 내려잡으며, 역성장 폭을 2배 가까이 늘렸다.
이날 피치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각국의 봉쇄 조치 연장과 신규 데이터를 반영했다"며 "성장률 하락에 따른 소득 감소분은 2조8000억 달러(약 3443조원)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나라·지역별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이탈리아(-8%)를 포함한 유로존이 -7.0%로 역성장 폭이 가장 컸고, 미국(-5.6%)과 영국(-6.3%)의 성장률 하락 폭도 컸다.
브라이언 쿨턴 피치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코로나19 위기가 진정된 뒤에도 세계 경제가 정상적인 상황을 회복해가는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4/23/20200423110909781613.jpg)
지난 23일(현지시간)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종이박스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한 멕시코의 한 소년.[사진=로이터·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