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입국 규제 강화 조치를 5월 말까지 연장한다.
일본 정부는 27일 아베 신조 총리 주재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비자 효력 정지 등을 통한 입국제한 조치를 6월 말까지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코로나19 유입 억제 대책 중 입국 규제 조치가 적용되고 있는 한국 등에서의 일본 입국이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게 됐다.
일본 정부는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페루 등 14개국에서의 외국인 입국을 오는 29일부터 추가로 거부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일본의 입국 거부 대상국은 87개국으로 늘었다.
한국은 대구와 청도 등 일부 지역만 입국 거부 대상으로 지정됐지만 지난 3일부터 전역으로 확대됐다.
입국 거부 대상국으로 지정되면 해당 국가에서 지난 2주 동안 체류한 외국인은 원칙적으로 입국이 불가능하다.
아베 총리는 "감염자 수가 세계적으로 300만명에 달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에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며 입국 규제 대책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27일 아베 신조 총리 주재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비자 효력 정지 등을 통한 입국제한 조치를 6월 말까지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코로나19 유입 억제 대책 중 입국 규제 조치가 적용되고 있는 한국 등에서의 일본 입국이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게 됐다.
일본 정부는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페루 등 14개국에서의 외국인 입국을 오는 29일부터 추가로 거부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일본의 입국 거부 대상국은 87개국으로 늘었다.
입국 거부 대상국으로 지정되면 해당 국가에서 지난 2주 동안 체류한 외국인은 원칙적으로 입국이 불가능하다.
아베 총리는 "감염자 수가 세계적으로 300만명에 달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에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며 입국 규제 대책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