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실직자 규모가 역대 최대치인 2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기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손꼽힌다.
17일 추경호 미래통합당 의원이 통계청의 2000~2020년까지 4월 고용동향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실직자 수는 207만6000명으로, 실직 시기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고였다.
같은 기간 비자발적 실직자는 104만5000명으로, 이 역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4월 실직자 수와 비자발적 실직자 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고용 위기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실직 사유 가운데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33만5000명)’와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34만4000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20만5000명)’, ‘직장 휴·폐업(16만명)’이 뒤를 이었다.
이 중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는 직전 최고치였던 2009년(11만2000명)보다 배 가까이 늘면서 처음 20만명을 넘어섰다. 직장 휴·폐업으로 인한 실직 역시 직전 최고치였던 2009년(8만3000명)보다 배로 늘면서 처음 10만명을 돌파했다.
17일 추경호 미래통합당 의원이 통계청의 2000~2020년까지 4월 고용동향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실직자 수는 207만6000명으로, 실직 시기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고였다.
같은 기간 비자발적 실직자는 104만5000명으로, 이 역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4월 실직자 수와 비자발적 실직자 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고용 위기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이 중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는 직전 최고치였던 2009년(11만2000명)보다 배 가까이 늘면서 처음 20만명을 넘어섰다. 직장 휴·폐업으로 인한 실직 역시 직전 최고치였던 2009년(8만3000명)보다 배로 늘면서 처음 10만명을 돌파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17/20200517205813745889.jpg)
지난 1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들이 실업금여 설명회에 참석하기 위해 줄을 서서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