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중국시간) 오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HO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제73차 세계보건총회(WHA) 화상회의 개막식 연설에서 시 주석은 이같이 밝혔다고 중국 신화통신이 전했다.
시 주석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통제된 뒤, 전 세계 코로나19 대응 작업에 대해 전면 평가하는 방안을 지지한다”면서 “이러한 작업은 WHO가 주도해야 하며, 객관성·공정성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의 이같은 언급은 미국의 독자적인 ‘코로나19 우한실험실 유래설 조사’나 친중 논란에 휘말린 WHO가 배제된 국제사회의 코로나19 기원 조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러면서 시 주석은 "중국은 2년 내에 20억 달러의 국제원조를 제공해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개발도상국가들을 지원하는 데 사용하고 백신 개발을 완료하면 개발도상국의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책임을 두고 중국의 책임을 묻고 있는 서방 국가들을 겨냥한 발언도 있었다. 시 주석은 “중국은 큰 희생을 치르고 전염병 상황을 반전시켜 인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했다”며 “국제사회에도 공개적이고 투명하며 책임 있는 태도로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각국에 전염병 방어와 치료 노하우를 제공해 왔다”고 강조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서구 사회에 확산하고 있는 중국책임론을 반박하고, 중국기여론을 주장한 것이다.
전 세계 194개 회원국과 옵서버 등이 참여한 이번 총회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사상 처음으로 화상회의로 진행됐다. 통상 총회는 예산과 정책 등을 심의하고 승인하는 자리이지만, 이번에는 코로나19 대유행의 책임을 두고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이 벌어졌다.
미국 대표로 온라인 연설을 한 앨릭스 에이자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국을 직접 거명하진 않았지만 '한 회원국'이 투명성 의무를 저버려 전 세계에 엄청난 희생을 초래했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사태 초기부터 중국을 두둔한다는 비난을 받는 WHO에 대해서도 코로나19 대응 실패로 많은 생명을 희생시켰다면서 날을 세웠다.
WHO 총회 연설을 하지 않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WHO는 중국의 꼭두각시”라며 “중국은 그들이 한 일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비난을 퍼부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19/20200519075539728786.jp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8일(현지시간) 화상회의 형태로 개막된 세계보건총회(WHA)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