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디폴트 벼랑 끝 몰린 아르헨티나, 22일 협상 시한 코앞으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세미 기자
입력 2020-05-20 15:3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2일까지 부채 재조정 합의 내거나 5억 달러 이자 갚아야

  • 아르헨 경제장관, "채권단과 협상 22일 넘길 듯"

아르헨티나가 역대 9번째 채무불이행(디폴트) 벼랑 끝에 섰다. 아르헨티나 정부와 채권단의 부채 재조정 협상 시한이 22일(현지시간)로 다가오면서다.

블룸버그는 19일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부채 재조정을 둘러싼 아르헨티나 정부와 채권단의 이견이 여전히 크다고 전했다. 시한 안에 합의가 도출될 수 있을지 확신하기 어렵다는 전언이다. 부채 재조정이란 채무자의 변제 능력이 부족할 때 채무 탕감이나 상환 유예 등의 방식으로 채무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한 소식통은 로이터에 "양측의 거리가 몇 센티미터가 아니라 몇 미터 벌어져있다"고 귀띔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채권단에 650억 달러(약 약 80조원) 부채에 대한 재조정을 제안해 협상을 진행했지만 두 달 넘게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22일로 예정된 협상 시한도 이미 한 차례 미뤄진 것이다.

마르틴 구즈만 아르헨티나 경제장관은 19일 온라인 포럼에서 "우리는 채권단과 건설적인 대화를 하고 있다"면서 채권단과의 협상이 22일을 넘길 것으로 예상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자문단에 투자자들의 피드백을 포함하되 채무에 대해선 3년을 유예하는 새로운 제안을 마련하도록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르헨티나는 또 22일 이자 5억 달러에 대한 상환도 앞두고 있다. 만약 아르헨티나가 5억 달러를 갚지 못하거나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아르헨티나는 200년 역사상 9번째 디폴트에 빠지게 된다. 다만 블룸버그는 아르헨티나 채권단이 22일 이자 지불 시한이 지나더라도 협상이 계속되는 한 상환을 독촉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높은 실업률, 통화가치 하락, 높은 인플레이션, 깊은 경기침체로 인해 부채 상환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특히 지난해 페론주의를 표방한 포퓰리즘 정당이 정권 교체를 이룬 뒤 투자자들이 등을 돌리면서 아르헨티나의 상환 환경이 크게 악화했다. 페론주의란 1946년 정권을 잡은 후안 도밍고 페론 대통령의 이름을 딴 것으로 산업 국유화와 대규모 무상복지 정책을 의미한다.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는 지난해 페론주의 회귀 우려가 불거진 8월 이후 지금까지 달러를 상대로 50% 넘게 곤두박질쳤다. 통화 가치가 떨어지면 외채 상환 부담이 훨씬 커질 수밖에 없다. 또 수입물가 급등이 겹치면서 연간 인플레이션이 50%에 육박할 정도이며 올해 경제는 6.5% 역성장이 예상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아르헨티나가 디폴트를 반복하는 근본적인 문제는 외채를 갚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외화를 벌어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짚었다. 또 아르헨티나의 금융 시스템이 낙후하고 페소 가치에 대한 국민들의 믿음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채권 발행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라고 FT는 덧붙였다. 페소 가치에 대한 불신은 장기화한 아르헨티나의 경제 불안 속에서도 아르헨티나의 해외 계좌 잔액이 3000억 달러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는 지적이다.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