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한국의 재래식 군사력이 북한에 월등하다고 밝혔다.
최근 불거진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관련 논란에 대해선 위안부 문제해결 원칙으로 응답했다.
◆文대통령 "우리의 재래식 군사력, 북한에 월등"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김태년 민주당·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와 오찬 회동을 하고, "우리의 재래식 군사력은 북한에 월등하다"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는 주 원내대표가 "북한의 핵과·미사일이 있는 상황에서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안전은 확실히 보장된다는 안심을 줘야 한다"고 말한 데 대한 응답이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핵 개발을 할 수 없게 돼 있다"며 "그래서 북·미 간 대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가 (4·27 판문점선언 등에 대해) 비준동의를 해준다면 큰 힘이 된다"면서 "10·4 선언, 9·19 선언 등을 열린 마음으로 봐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정권이 어떻게 바뀌어도 계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文, 윤미향 이슈에 '위안부 문제해결 원칙' 답변
이날 청와대 오찬 회동에서는 윤 당선인 관련 주제도 논의됐다.
문 대통령은 주 원내대표가 '(일본 측) 보상과 관련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입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윤 당선인 사건이 나온 것'이라고 지적한 데 대해 윤 당선인 또는 정의기억연대(정의연)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한·일 위안부 합의와 이행 문제 등을 비판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위안부 합의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으나 피해자들이 받아들이지 못했다"며 "당시 할머니들과 사전에 (합의 내용을) 공유했으면 이를 받아들였을 수도 있으나 일방적이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일본도 합의문 상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사과의 뜻을 밝히는 것으로 간주했는데 돌아서니 설명이 없었다. 위로금 지급식으로 정부 스스로 합의 취지를 퇴색시켰는데, 앞으로의 과제"라고 진단했다.
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의 발언이 정의연 사태와 관련한 것이 아니고 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오늘날에 이른 배경을 언급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오찬 내내 윤 당선인 이름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불거진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관련 논란에 대해선 위안부 문제해결 원칙으로 응답했다.
◆文대통령 "우리의 재래식 군사력, 북한에 월등"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김태년 민주당·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와 오찬 회동을 하고, "우리의 재래식 군사력은 북한에 월등하다"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는 주 원내대표가 "북한의 핵과·미사일이 있는 상황에서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안전은 확실히 보장된다는 안심을 줘야 한다"고 말한 데 대한 응답이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핵 개발을 할 수 없게 돼 있다"며 "그래서 북·미 간 대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가 (4·27 판문점선언 등에 대해) 비준동의를 해준다면 큰 힘이 된다"면서 "10·4 선언, 9·19 선언 등을 열린 마음으로 봐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정권이 어떻게 바뀌어도 계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文, 윤미향 이슈에 '위안부 문제해결 원칙' 답변
이날 청와대 오찬 회동에서는 윤 당선인 관련 주제도 논의됐다.
문 대통령은 주 원내대표가 '(일본 측) 보상과 관련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입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윤 당선인 사건이 나온 것'이라고 지적한 데 대해 윤 당선인 또는 정의기억연대(정의연)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한·일 위안부 합의와 이행 문제 등을 비판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위안부 합의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으나 피해자들이 받아들이지 못했다"며 "당시 할머니들과 사전에 (합의 내용을) 공유했으면 이를 받아들였을 수도 있으나 일방적이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일본도 합의문 상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사과의 뜻을 밝히는 것으로 간주했는데 돌아서니 설명이 없었다. 위로금 지급식으로 정부 스스로 합의 취지를 퇴색시켰는데, 앞으로의 과제"라고 진단했다.
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의 발언이 정의연 사태와 관련한 것이 아니고 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오늘날에 이른 배경을 언급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오찬 내내 윤 당선인 이름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