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6/18/20200618065236813663.jpg)
경북도청 청사 전경. [사진=경상북도 제공]
전국의 임업후계자는 2019년 기준 1만2915명이다. 도는 올해 말까지 350명을 추가 선정해 2200명까지 확대, 차세대 전문산림경영인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최근 산림의 공익적 가치가 높아지고 버섯류, 수실류, 산나물류 등 고소득 임산물을 산림 내에서 복합적으로 경영하려는 임업인이 증가하면서 임업후계자 선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임업후계자는 3ha 이상의 산림을 소유하고 있거나 임산물을 산림청장이 정한 기준이상으로 재배하는 사람 중 엄격한 선발과정을 거쳐 시장․군수가 선정하고 있다.
경북도내 대표적인 주요임산물 중 송이(영덕), 대추(경산), 오미자(문경), 떫은감(청도, 상주), 호두(김천), 천마(영주, 구미), 마(안동) 등은 전국 생산량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표고(문경), 산양삼(영주) 등도 우수한 친환경 임산물로 소문이 나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산림치유와 친환경 임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먹거리 임산물의 경우 소비 트렌드가 비대면 거래와 웰빙을 강조한 소비로 변화하고 있어, 임업후계자 선발·육성이 임업인 소득증대와 산촌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시점이다.
최대진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및 산촌활성화를 위해 후계인력 양성은 매우 중요하며, 임업후계자 선발․육성을 위해 뉴노멀 시대에 알맞게 임산물 생산·유통·소비 구조변화를 적극 지원하고 산주의 기본적인 소득보전을 위한 임업직불제의 도입, 세제혜택 확대 등을 중앙정부에 지속 건의 하는 등 임업인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