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농식품 수출액은 48억4567만 달러(약 5조7000억원)로 전년동기 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농식품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침체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국가별 전략 품목을 선정하고, 비대면·온라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03/20200903130232389648.jpg)
수출 증가 이끈 김치 [사진=연합뉴스]
김치의 경우 코로나19로 건강·발효 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수출이 전년 동기보다 40.3% 증가한 9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로 호주 76.4%, 미국 69.1%, 일본 29.3% 순으로 수출이 늘었다.
라면도 코로나19 사태 속에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가정 내 간편식으로 인기를 끌면서 수출액은 36.7% 증가한 4억5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주로 미국과 일본, 중국 등으로 수출이 크게 늘었다.
고추장 등 장류와 즉석밥, 떡볶이 등 집에서 요리해 먹을 수 있는 소스류·쌀가공식품의 수출도 선방했다.
수출액을 품목별로 보면 고추장이 3320만 달러로 전년대비 35.6%, 쌀가공식품은 8500만 달러로 21.7% 각각 증가했다.
홍콩·미국 등에서 여름철 보양식품으로 간편식 삼계탕이, 베트남에서는 닭가슴살이 인기를 끌며 닭고기 수출액도 5000만 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김종구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연말까지는 하반기 출하가 집중되는 포도·배·딸기·파프리카 등 과실·과채류 신선 농산물에 대한 수출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