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14/20200914091723664967.png)
'T맵 대중교통' 앱에서 확인할 수 있는 칸별 혼잡도 화면.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은 'T맵(T map) 대중교통' 앱을 통해 지하철의 칸별 혼잡도 예측 정보를 국내 최초로 제공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승객들이 칸별 혼잡도를 미리 확인해 지하철을 보다 안전하게 분산∙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15일부터 T맵 대중교통 앱 업데이트를 통해 적용된다. 서울·수도권 1~8호선 정보가 우선 제공되며, 추후 수도권 미적용 호선으로 확대된다.
이용자들은 앱에서 클릭 한번으로 ‘초록·노랑·주황·빨강’ 등 4단계 색상을 통해 칸별 혼잡도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초록’은 승객 간 간격이 여유로운 상태를, ‘빨강’은 서 있는 승객들의 어깨가 밀착돼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모든 칸이 같은 단계의 혼잡도를 나타낼 경우 '추천' 기능을 통해 조금이라도 더 여유 있는 두 개의 칸을 알려준다.
이 서비스는 SK텔레콤의 향상된 데이터 분석 기술 역량과 고객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은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데이터 분석 영역을 확장, 혼잡도 패턴정보의 정확도를 높였다. 지난 6월 지하철 혼잡도 예측 정보를 국내 최초로 적용한 이후 1만명이 넘는 이용자의 의견을 분석해 서비스를 개선했다. 또 서비스 화면에 만족도 별점 평가 기능을 추가해 고객의 목소리를 더 빠르게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T맵 대중교통 앱 업데이트에는 지하철 칸별 혼잡도 서비스 외에도 △서울·수도권 지역의 버스 노선에 대한 정류장별 첫차·막차 정보 제공 △대중교통 관련 주요 사고 상황을 안내하는 기능이 추가됐다.
이 앱은 'T map' 운영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4년 출시됐다. 도보·지하철·버스 등 다양한 이동 수단을 조합해 이용자들에게 최적의 이동 방법을 제시하고, 개인별 출퇴근 경로, 하차 알림 등 맞춤 기능을 제공한다.
이종호 SK텔레콤 모빌리티(Mobility)사업단장은 "5G 네트워크와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인공지능(AI) 분석 기술 등을 활용해 내년에는 혼잡도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T맵 대중교통 등 고객 맞춤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지속해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