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 원장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14일 발표에 따르면 항체형성자가 단 1명이라고 하는데, 확진자와 무증상 감염자가 다수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항체형성자가 없다는 것은 샘플링이 잘못됐거나 조사 설계 자체가 잘못됐다는 것을 말한다"고 했다.
지 원장은 "발표를 계속 연기하다가 일부 결과를 발표하는 등 투명하지 않은 정보공개로 불신을 증폭시킨다"고 했다.
지 원장은 아울러 무증상 감염자 선별을 위해 신속진단키트를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고, 기존 PCR 방식과 정확도 면에서 차이가 없다. WHO, 미 CDC와 FDA에서 사용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키트의 도입을 머뭇거린다. 이유를 알 수가 없다"고 했다.
윤희숙 의원도 "확진자 수가 검사 수에 따라 달라지는 데도 분모에 대한 언급없이 확진자 수만 발표하고 있는 것은 그간 꾸준히 비판돼 왔음에도 마이동풍이다"고 했다.
윤 의원은 "주말에는 검사인력이 줄어 검사 수가 감소하는데도 마치 방역의 성과가 나타나 확진자 수가 감소했다는 식이다. 그러니 필요할 때 검사를 늘려 공포를 조장한다는 의심이, 정부가 방역을 다른 목적에 이용한다는 의심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고 했다.
윤 의원은 "질병관리청은 샘플 수가 1440명인 항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10일로 예정됐던 발표가 마지막 순간에 두 차례나 미뤄져 의혹의 눈길을 받은바 있다"면서 "결과는 항체보유율이 0.07%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괴질 봉쇄 같은 기존 방역방식을 합리화하는 결과"라고 했다.
윤 의원은 "감염경로를 모르는 확진자 비중이 4분의 1에 이르는데도 이런 결과가 나왔으니 결과를 그대로 믿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며 "방역당국도 스스로 멋쩍었는지 샘플수가 작아 일반화하기 어렵다고 사족을 달았다"고 했다.
윤 의원은 "방역과 관련한 정보의 투명화와 신뢰의 회복을 요구한다"면서 "지역별, 인구 그룹별 비교가 가능한 대규모 샘플로 신뢰성 있는 항체조사를 신속히 시행하되, 데이터도 익명화해 민간연구자에게 널리 공개하는 것이 좋은 시작일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