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4개사는 △K-UAM 로드맵 공동 추진 △K-UAM그랜드 챌린지 공동 참여 △UAM 공동연구 추진에 협력한다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었다.
UAM은 혼잡한 도심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통수단이다. 2040년까지 향후 20년 간 국내는 13조원, 세계로는 730조원 규모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다. 지난 6월 국토교통부를 비롯한 관계부처는 UAM 사업을 장려하기 위해 K-UAM 로드맵과 민관 합동 대규모 실증사업인 K-UAM 그랜드 챌린지를 발표했다.
KT는 공중의 비행체와 지상의 다양한 이동체를 연계하는 에어그라운드모빌리티 사업 모델 개발과 UTM(Unmanned aerial system Traffic Management) 시스템 개발·실증을 맡는다. 현대자동차는 UAM 기체 개발 및 사업화, 시험비행 추진 등을 담당하며 현대건설은 버티포트(Vertiport) 운영 모델 및 UAM 복합 환승센터 콘셉트 개발 등을 맡는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UAM(UTM) 인프라 구축 및 운영, 공항셔틀 연구 등을 진행한다.
또한 KT는 드론 운항관리 UTM개발·시범 운용경험을 토대로 UAM 교통관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고도 제한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UAM 통신인프라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전홍범 KT AI/DX융합사업부문장(부사장)은 "앞으로도 KT의 자율주행과 모빌리티플랫폼, 드론 교통관리 시스템 등을 활용해 새로운 산업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나아가 대한민국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