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 사장의 탈통신 마법…SK텔레콤, 우버·아마존과 잇단 '초협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의 국경을 초월한 '초협력'이 연말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모빌리티 분야에서 '우버'와 손잡은 데 이어 이번에는 e커머스 분야에서 '아마존'까지 끌어들였다.
SK텔레콤은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과 e커머스 사업 혁신을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자회사인 11번가에서 아마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지분 참여도 가능토록 약정을 체결했다.
업계에서는 아마존이 이번 지분 참여로 11번가에 약 3000억원 규모를 투자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존은 11번가의 기업공개(IPO) 등 한국 시장에서의 사업 성과에 따라 일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신주인수권리를 부여받을 수 있다.
박 사장은 평소 SK텔레콤의 벤치마킹 모델로서 아마존에 관심을 가져왔다는 후문이다. 이번 초협력으로 박 사장은 11번가를 '글로벌 유통허브 플랫폼'으로 성장시키기로 했다.
불과 한 달 전, SK텔레콤은 글로벌 차량공유 플랫폼 '우버'와의 협력 소식도 알렸다. 그동안 T맵 플랫폼, T맵 택시 사업 등을 추진해온 '모빌리티 사업단'을 연내 '티맵모빌리티'(가칭)로 분할하면서 우버와 합작법인(JV)도 세우기로 한 것이다.
이 JV는 내년 상반기 설립을 목표로 한다. 우버와 티맵모빌리티는 JV에 각각 약 5000만 달러(약 575억원), 1억 달러(약 1150억원)를 투자하고 택시호출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의 글로벌 행보는 모빌리티나 e커머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당장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NUGU)'와 아마존의 AI 스피커 '아마존 에코'의 활용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 및 '차량 내 결제' 등의 서비스로 발전시킬 수 있다.
"5G 지연시간 짧아진다"... 이통3사, 단독모드 내년 상용화 준비 완료
이동통신 3사가 5G 단독모드(SA)를 상용화하기 위한 기술적인 준비를 마치고 상용화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중 단독모드 상용화가 추진될 전망이다. 단독모드가 상용화되면 통신 지연속도가 크게 단축돼 5G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초저지연에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게 된다.
이통3사는 17일, 단독모드 상용화를 위한 기술적인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단독모드란 데이터 전송은 5G망을,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는 LTE망을 이용하는 5G 비단독모드(NSA)와 달리 데이터와 신호 모두 5G망을 이용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다.
단독모드가 상용화됨으로써 이용자가 체험할 수 있는 가장 큰 변화는 통신 지연시간이 크게 줄어드는 것이다. 현재 30.01ms로 LTE의 평균 지연시간 36.34ms와 큰 차이가 없는 5G 평균 지연시간(과기정통부 기준)이 10ms 수준으로 극적으로 단축될 전망이다. 또한 단독모드 서비스 지역에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이 늘어나는 효과도 체험할 수 있다.
'거래액 1조원' SK스토아, 데이터로 TV홈쇼핑 시장 흔든다
"TV 데이터 플랫폼은 홈쇼핑 사업의 시장가치를 제대로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지난 2017년 SK브로드밴드에서 분사한 SK스토아가 3년 만에 취급고(거래액)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오는 2025년 취급고 4조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원, 1450억원까지 끌어올린다. 이 같은 성과의 배경에는 데이터 기반의 방송 분석 프로그램 'SK스토아 온 비전(ON Vision)'이 있다.
윤석암 SK스토아 대표는 18일 서울 상암동 본사에서 "홈쇼핑 사업은 실제 퍼포먼스보다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측면이 있었는데, SK스토아 온 비전으로 이 같은 고민이 사라지게 됐다"고 말했다.
SK스토아 온 비전은 방송 연출과 판매, 편성과 상품, 시청과 외부요인 등의 관계를 계량화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어떻게 해야 실적이 잘 나올지, 이 상품이 잘 팔린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고민하던 중 데이터를 활용해 해답을 찾고자 만들어졌다.
지난해 3월 1.0 버전으로 시작한 SK스토아 온은 올해 비전을 론칭, 내년 개인화된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2.0 버전으로 진화할 예정이다. 이후 인공지능(AI) 기반 자동화, 클라우드 방송 등이 가능한 3.0 버전으로 거듭나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