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본입찰에서 현대중공업지주와 유진기업이 참여했다. 유력한 인수후보로 꼽혔던 GS건설과 MBK파트너스, 글랜우드PE, 이스트브릿지 등 사모펀드들은 모두 불참을 선언했다.
다수의 인수후보들은 두산인프라코어의 DICC 소송 우발부채 문제를 우려한 것으로 전해진다. 승소하더라도 투자자들이 동반매도청구권(드래그얼롱)을 행사하면 DICC를 되팔아야 하는 불확실성이 남는다.
유진기업이 참여했지만 자금동원력이 크지 않아 현대중공업지주의 인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현대중공업지주가 산은 자회사인 KDB인베스트먼트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싣는다.
현대중공업지주와 유진기업이 제시한 입찰 가격은 알려지지 않았다. 7000억원에서 1조원이 거론되는 가운데 현대중공업지주가 얼마를 써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산은은 두산인프라코어 매각과 구조조정을 총괄하고 있다. 비싸게 팔릴수록 자금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 반면 KDB인베스트먼트는 부담을 떠안게 된다. 역으로 두산인프라코어가 싸게 팔리면 현대중공업그룹에 관대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결정하고 주요국으로부터 기업결합심사를 받고 있다. 이를 위해 현대중공업그룹은 주력계열사인 현대중공업을 투자회사(한국조선해양)와 사업회사로 분할하고 산은은 대우조선해양 지분을 한국조선해양에 현물출자해 공동경영하는 구조다. 인수자 부담을 덜기 위한 조치지만 해당 계약이 성사될 당시 금속노조 등은 ‘재벌 특혜’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최근 산은은 대한항공에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결정하면서 한진그룹 지주사인 한진칼과 투자합의서를 체결했다. 산은이 자금을 지원하고 한진칼 지분을 확보해 그룹 경영감시를 하겠다는 취지인 반면, 현대중공업그룹에는 중간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에만 주주로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과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유사하면서도 그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그 배경으로 현대중공업그룹은 한진그룹 대비 재무여력이나 자금동원력 측면 우위에 있다는 점도 지목된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를 최종 인수해 현대건설기계와 합병하면 ‘세계 빅5’ 건설기계 업체로 도약하게 된다. 대우조선해양과 아시아나항공 매각 사례를 보면 산은은 기존 공적자금회수에서 경영정상화를 우선하는 전략으로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시장 지배력 1위’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두산인프라코어가 현대중공업그룹 품에 안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는 이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