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제14대 은행연합회 회장으로 공식 선출된 가운데, 관(官)출신인 그가 금융권 내에 산적한 문제를 풀기 위해 당국과 어떤 연결고리를 가져갈지에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27일 오전 사원기관 대표들이 참석하는 총회를 열고, 이달 23일 이사회가 차기 은행연합회 회장 단독 후보로 추천한 김광수 회장을 제14대 은행연합회장에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김 회장은 제14대 은행연합회장 후보군 6명 중 유일한 ‘관(官)+민(民)’의 교차 경력을 지닌 인물로, 이날 연합회 이사회로부터 만장일치로 추대됐다. 그는 행정고시 합격 후 중앙부처와 금융당국, 청와대에서 30여년간 공직생활을 거친 뒤 최근 2년간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을 역임했다.
이날 은행연합회는 김 회장의 단독 선임 배경으로 경제관료로서 요직을 두루 거친 이력과 민간 금융회사에서 보여준 탁월한 업무수행력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김태영 현 은행연합회장은 “누구보다 은행산업을 아우르는 통찰력을 가진 적임자다”며 “당국과 소통할 수 있는 연합회장을 바라는 은행장들의 절대적 지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권에서는 차기 회장이 ‘당국과의 단단한 연결고리’가 돼 주길 바라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요구 속에 다음달 1일 은행연합회장에 취임할 김 회장은 별도의 취임식을 생략한 채 당장 현안부터 살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이 기대하는 당국과의 소통 능력을 김 회장이 얼마나 발휘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먼저 김 회장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 국면에서 은행의 대출 문턱을 지속적으로 높이려는 당국과 규제 완화를 바라는 금융소비자 사이의 절충안을 찾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피해에 따른 은행권의 수익성 악화가 내년부터 본격화할 것이란 비관적 전망이 쏟아지는 가운데 당국의 규제에만 묶여서는 안 된다는 은행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뇌관으로 뭇매를 맞고 있는 ‘사모펀드 사태’도 해결해야 할 또 다른 과제로 꼽힌다. 여론이 민감하게 움직이는 가운데 당장 금융당국이 다음 달부터 징계절차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김 회장이 업권의 입장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지도 지켜볼 대목이다.
은행연합회는 시중은행과 금융공기업 등 22개 회사·기관이 모인 비영리 단체로 이들의 분담금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특성상 당국으로부터 회원사를 보호하고 입장을 대변해야 할 의무도 져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라임펀드 사태에 연루된 상당수 은행들이 최고경영자(CEO) 징계와 맞물려 예상을 뛰어넘는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당국의 일방적인 제재에 은행연합회 차원의 반박 의견을 어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연합회의 설립 목적과 취지부터 되새기길 바란다”며 “차기 연합회장은 전임 회장들이 보여준 정부·당국의 가신 역할에서 탈피해 제 목소리를 낼 줄 아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뿐만 아니라 은행들과 생존 경쟁을 벌일 네이버 등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업체)들과 의견차를 좁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모든 은행들이 참여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지원책도 정례화해야 한다는 주문이 잇따르고 있다.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령 관련 문제도 대응해야 하며 은행권 공통의 임금단체협상, 금융노조와의 입장 조율 등도 김 회장의 앞에 놓여있는 과제다. 이들 이슈들은 모두 이해관계 대상자와 당국의 접촉 면적을 얼마나 넓히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릴 문제로 분류돼 결국 김 회장이 어떤 중재자 역할을 하느냐가 중요하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같은 금융권 협회들, 가령 보험협회와 증권협회는 회원사의 이익 대변을 위해 때로는 정부에 맞서는 태도를 보였지만 유독 은행연합회만 항상 수동적이었다”며 “차기 연합회장은 취임과 동시에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김 회장의 임기는 2023년 11월까지 3년이다.
은행연합회는 27일 오전 사원기관 대표들이 참석하는 총회를 열고, 이달 23일 이사회가 차기 은행연합회 회장 단독 후보로 추천한 김광수 회장을 제14대 은행연합회장에 만장일치로 선출했다.
김 회장은 제14대 은행연합회장 후보군 6명 중 유일한 ‘관(官)+민(民)’의 교차 경력을 지닌 인물로, 이날 연합회 이사회로부터 만장일치로 추대됐다. 그는 행정고시 합격 후 중앙부처와 금융당국, 청와대에서 30여년간 공직생활을 거친 뒤 최근 2년간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을 역임했다.
이날 은행연합회는 김 회장의 단독 선임 배경으로 경제관료로서 요직을 두루 거친 이력과 민간 금융회사에서 보여준 탁월한 업무수행력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김태영 현 은행연합회장은 “누구보다 은행산업을 아우르는 통찰력을 가진 적임자다”며 “당국과 소통할 수 있는 연합회장을 바라는 은행장들의 절대적 지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최근 금융권에서는 차기 회장이 ‘당국과의 단단한 연결고리’가 돼 주길 바라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요구 속에 다음달 1일 은행연합회장에 취임할 김 회장은 별도의 취임식을 생략한 채 당장 현안부터 살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이 기대하는 당국과의 소통 능력을 김 회장이 얼마나 발휘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먼저 김 회장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 국면에서 은행의 대출 문턱을 지속적으로 높이려는 당국과 규제 완화를 바라는 금융소비자 사이의 절충안을 찾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피해에 따른 은행권의 수익성 악화가 내년부터 본격화할 것이란 비관적 전망이 쏟아지는 가운데 당국의 규제에만 묶여서는 안 된다는 은행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뇌관으로 뭇매를 맞고 있는 ‘사모펀드 사태’도 해결해야 할 또 다른 과제로 꼽힌다. 여론이 민감하게 움직이는 가운데 당장 금융당국이 다음 달부터 징계절차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김 회장이 업권의 입장을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지도 지켜볼 대목이다.
은행연합회는 시중은행과 금융공기업 등 22개 회사·기관이 모인 비영리 단체로 이들의 분담금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특성상 당국으로부터 회원사를 보호하고 입장을 대변해야 할 의무도 져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라임펀드 사태에 연루된 상당수 은행들이 최고경영자(CEO) 징계와 맞물려 예상을 뛰어넘는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당국의 일방적인 제재에 은행연합회 차원의 반박 의견을 어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연합회의 설립 목적과 취지부터 되새기길 바란다”며 “차기 연합회장은 전임 회장들이 보여준 정부·당국의 가신 역할에서 탈피해 제 목소리를 낼 줄 아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뿐만 아니라 은행들과 생존 경쟁을 벌일 네이버 등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업체)들과 의견차를 좁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모든 은행들이 참여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지원책도 정례화해야 한다는 주문이 잇따르고 있다.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령 관련 문제도 대응해야 하며 은행권 공통의 임금단체협상, 금융노조와의 입장 조율 등도 김 회장의 앞에 놓여있는 과제다. 이들 이슈들은 모두 이해관계 대상자와 당국의 접촉 면적을 얼마나 넓히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릴 문제로 분류돼 결국 김 회장이 어떤 중재자 역할을 하느냐가 중요하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같은 금융권 협회들, 가령 보험협회와 증권협회는 회원사의 이익 대변을 위해 때로는 정부에 맞서는 태도를 보였지만 유독 은행연합회만 항상 수동적이었다”며 “차기 연합회장은 취임과 동시에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김 회장의 임기는 2023년 11월까지 3년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