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불복 사태가 큰 이변 없이 '재선 패배'로 귀결하는 가운데, 합법적인 방식으로 선거 결과를 뒤집을 가능성이 거의 없는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히, 미국 정보당국이 중국의 대선 개입 가능성 의견을 고수하고 있어, 이를 이유 삼아 무력을 동원해 승리를 '강탈'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이날 저녁 DNI는 성명을 내고 "정보당국 담당자들은 해외 세력의 선거 개입과 관련한 보고를 받았지만, 아직 관계 기관들과의 조정을 마치지 못했다"면서 "마감시한까지 제출이 어렵다"고 밝혔다.
당초 해당 보고서는 대선 종료 후 45일 내로 의회에 비공개 제출될 예정으로, 최종 시한은 오는 18일이다. DNI의 총괄 아래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이 지난달 3일 대선 과정에서 해외 세력의 선거 개입이 있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불복 행보와 관련한 것으로, 트럼프 측은 국내외에서 광범위한 선거 개입이 있었기에 이번 대선은 사기 선거였고 자신의 승리를 도둑맞았다는 허위 주장을 펼쳐왔다.
앞서 우편 사전투표와 개표절차 등을 포함한 국내 선거 부정 혐의는 미국 국토안보부와 법무부가 조사했으며, 양측 모두 관련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면서 무혐의 결론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DNI의 해외 선거 개입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를 제시할 가능성이 남은 마지막 기회이며, 해당 보고서 승인 여부에 따라 향후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 국가 제재나 선거 결과 뒤집기 등을 행정명령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블룸버그는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이날 DNI가 발표한 보고서 제출 기한 연기 방침은 특히 중국의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한 충분한 정황이 나오지 않은 데 따른 것으로 존 래트클리프 DNI 국장이 제출을 거부하는 방향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래트클리프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장 강력한 측근으로 부상한 텍사스 공화당 출신"이라며 "관계자들은 중국의 개입 정황을 두고 조직 내 논쟁이 벌어졌다고 증언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선 이번 대선에 개입할 만한 해외세력으로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이란, 중국, 북한 등을 꼽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 측은 이 중에서도 중국과 이란의 위협을 강조해왔다.
미국 내에선 일반적으로 러시아 정부의 선거 개입을 가장 우려해왔는데, 러시아의 선거 개입 정황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오히려 불리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의 광범위한 도움으로 당선했다는 의혹(러시아 게이트)을 받고 있기에 해당 의혹을 다시 불러올 수 있다는 판단이다.
올해 대선을 치르는 과정에서 로버트 오브라이언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사임한 윌리엄 바 전 법무장관 등 측근들은 중국이 러시아보다 더 큰 개입 세력이라고 주장해 왔다. FBI가 9월 러시아의 선거 방해 움직임을 경고할 당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FBI의 발표를 비웃으며 "중국이 러시아보다 더 큰 위협"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9월에는 브라이언 머피 전 국토안보부 차관보 대행은 "정부 윗선에서 러시아에 대한 조사를 중단하고 중국과 이란의 활동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라고 지시했다"고 내부고발을 하기도 했다.
지난 14일 각 주에서 선거인단 투표가 끝나고 개표 결과대로 '303대232'라는 개표 결과를 받아든 트럼프 대통령은 합법적인 방식으로 선거 결과를 뒤집을 수 있을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이다.
선거인단 투표 이후 공화당조차도 대선 패배를 승복하고 당 지도부는 내년 1월 6일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선거 결과 인증에 이의를 제기하지 말라는 방침까지 내렸다.
내년 1월 5일 상원 2석이 걸려있는 조지아주 상원의원 결선투표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공화당 측은 상원 과반을 지킬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놓칠 수 없다는 셈법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마지막 희망이 사라졌다는 평가다.
트럼프 대통령 측은 우선 경합주에 대한 우편투표와 개표 무효화 소송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지만, 연방대법원 조차도 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뒤집을 판단을 내지 않을 것이란 것이 지배적인 관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9일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을 경질한 데 이어 지난 14일에는 윌리엄 바 법무장관도 백악관을 떠나자 '쿠데타' 우려는 더욱 커져가고 있다.
이들 장관은 백악관 안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예스맨'으로 분류해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불복 행보를 두고 갈등세가 커지며 신임을 잃었기 때문이다.
바 장관의 경우 선거 사기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국토안보부와 법무부의 조사 결과를 승인했고, 에스퍼 장관은 지난 여름 조지 플로이드 인종차별 항의 시위 국면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인 이유로 군을 동원하려는 시도를 막으며 결국 공개 항명까지 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자 모임이자 과격한 성향의 극우단체인 큐애넌과 프라우드보이즈 등은 트럼프 대통령의 패색이 짙어진 지난 9월부터 꾸준히 대규모 집회를 동원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폭력사태를 암시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의 '쿠데타' 시도를 촉구해오기도 했다.
미국 시사잡지 디 애틀랜틱은 11월호에서 프라우드 보이즈가 수천명의 전현직 경찰·군인을 모집하며 '우익 민병대'를 조직하고 '제2의 남북전쟁'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해 미국 사회에 충격을 주기도 했다.
최근 트럼프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는 SNS 플랫폼인 '팔러'에서는 이와 같은 군사 쿠데타 주장이나 가짜 뉴스가 더욱 힘을 얻어간다는 우려 섞인 보도도 자주 나온다.
다만, 올해 대선 과정에서 미군과 미국 국방부 측은 여러 차례에 걸쳐 군의 정치 중립성과 정치 개입 금지 원칙을 재확인하고 선거 과정에서 군을 움직이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라, 대부분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군사 쿠데타' 가능성은 현실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14일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기괴한' 선거 불복 행동은 분노를 표출하거나 쿠데타를 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팬 서비스'에 불과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실제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는 목표가 아닌 1월 20일 퇴임 직전까지도 '트럼프 브랜드', '트럼프 유니버스'를 확장하려는 목적이라는 것이다.
美정보당국, '中선거개입' 주장하고 싶지만...정황 부족에 진퇴양난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결과에 여전히 승복하지 않으면서 국가정보국(DNI)이 중국 등의 대선 개입 정황을 담은 보고서 제출을 앞두고 마지막까지 고심 중이라고 보도했다.이날 저녁 DNI는 성명을 내고 "정보당국 담당자들은 해외 세력의 선거 개입과 관련한 보고를 받았지만, 아직 관계 기관들과의 조정을 마치지 못했다"면서 "마감시한까지 제출이 어렵다"고 밝혔다.
당초 해당 보고서는 대선 종료 후 45일 내로 의회에 비공개 제출될 예정으로, 최종 시한은 오는 18일이다. DNI의 총괄 아래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이 지난달 3일 대선 과정에서 해외 세력의 선거 개입이 있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불복 행보와 관련한 것으로, 트럼프 측은 국내외에서 광범위한 선거 개입이 있었기에 이번 대선은 사기 선거였고 자신의 승리를 도둑맞았다는 허위 주장을 펼쳐왔다.
앞서 우편 사전투표와 개표절차 등을 포함한 국내 선거 부정 혐의는 미국 국토안보부와 법무부가 조사했으며, 양측 모두 관련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면서 무혐의 결론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DNI의 해외 선거 개입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를 제시할 가능성이 남은 마지막 기회이며, 해당 보고서 승인 여부에 따라 향후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 국가 제재나 선거 결과 뒤집기 등을 행정명령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블룸버그는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이날 DNI가 발표한 보고서 제출 기한 연기 방침은 특히 중국의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한 충분한 정황이 나오지 않은 데 따른 것으로 존 래트클리프 DNI 국장이 제출을 거부하는 방향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래트클리프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장 강력한 측근으로 부상한 텍사스 공화당 출신"이라며 "관계자들은 중국의 개입 정황을 두고 조직 내 논쟁이 벌어졌다고 증언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선 이번 대선에 개입할 만한 해외세력으로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이란, 중국, 북한 등을 꼽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 측은 이 중에서도 중국과 이란의 위협을 강조해왔다.
미국 내에선 일반적으로 러시아 정부의 선거 개입을 가장 우려해왔는데, 러시아의 선거 개입 정황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오히려 불리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의 광범위한 도움으로 당선했다는 의혹(러시아 게이트)을 받고 있기에 해당 의혹을 다시 불러올 수 있다는 판단이다.
올해 대선을 치르는 과정에서 로버트 오브라이언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사임한 윌리엄 바 전 법무장관 등 측근들은 중국이 러시아보다 더 큰 개입 세력이라고 주장해 왔다. FBI가 9월 러시아의 선거 방해 움직임을 경고할 당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FBI의 발표를 비웃으며 "중국이 러시아보다 더 큰 위협"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9월에는 브라이언 머피 전 국토안보부 차관보 대행은 "정부 윗선에서 러시아에 대한 조사를 중단하고 중국과 이란의 활동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라고 지시했다"고 내부고발을 하기도 했다.
마지막 전략은 군 동원 쿠데타?...'우익 민병대' 우려도
일각에선 18일 DNI의 보고서 제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군을 동원해 선거 승리를 강탈할 수도 있다는 '쿠데타' 가능성에 대한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지난 14일 각 주에서 선거인단 투표가 끝나고 개표 결과대로 '303대232'라는 개표 결과를 받아든 트럼프 대통령은 합법적인 방식으로 선거 결과를 뒤집을 수 있을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이다.
선거인단 투표 이후 공화당조차도 대선 패배를 승복하고 당 지도부는 내년 1월 6일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선거 결과 인증에 이의를 제기하지 말라는 방침까지 내렸다.
내년 1월 5일 상원 2석이 걸려있는 조지아주 상원의원 결선투표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공화당 측은 상원 과반을 지킬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놓칠 수 없다는 셈법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마지막 희망이 사라졌다는 평가다.
트럼프 대통령 측은 우선 경합주에 대한 우편투표와 개표 무효화 소송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지만, 연방대법원 조차도 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뒤집을 판단을 내지 않을 것이란 것이 지배적인 관측이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9일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을 경질한 데 이어 지난 14일에는 윌리엄 바 법무장관도 백악관을 떠나자 '쿠데타' 우려는 더욱 커져가고 있다.
이들 장관은 백악관 안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예스맨'으로 분류해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불복 행보를 두고 갈등세가 커지며 신임을 잃었기 때문이다.
바 장관의 경우 선거 사기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국토안보부와 법무부의 조사 결과를 승인했고, 에스퍼 장관은 지난 여름 조지 플로이드 인종차별 항의 시위 국면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인 이유로 군을 동원하려는 시도를 막으며 결국 공개 항명까지 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자 모임이자 과격한 성향의 극우단체인 큐애넌과 프라우드보이즈 등은 트럼프 대통령의 패색이 짙어진 지난 9월부터 꾸준히 대규모 집회를 동원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폭력사태를 암시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의 '쿠데타' 시도를 촉구해오기도 했다.
미국 시사잡지 디 애틀랜틱은 11월호에서 프라우드 보이즈가 수천명의 전현직 경찰·군인을 모집하며 '우익 민병대'를 조직하고 '제2의 남북전쟁'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해 미국 사회에 충격을 주기도 했다.
최근 트럼프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는 SNS 플랫폼인 '팔러'에서는 이와 같은 군사 쿠데타 주장이나 가짜 뉴스가 더욱 힘을 얻어간다는 우려 섞인 보도도 자주 나온다.
다만, 올해 대선 과정에서 미군과 미국 국방부 측은 여러 차례에 걸쳐 군의 정치 중립성과 정치 개입 금지 원칙을 재확인하고 선거 과정에서 군을 움직이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라, 대부분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군사 쿠데타' 가능성은 현실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14일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기괴한' 선거 불복 행동은 분노를 표출하거나 쿠데타를 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팬 서비스'에 불과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실제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는 목표가 아닌 1월 20일 퇴임 직전까지도 '트럼프 브랜드', '트럼프 유니버스'를 확장하려는 목적이라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