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모기업 알파벳이 소유한 인공지능(AI) 회사 '딥마인드'의 회계상 손실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빅데이터 연구계 전문가의 시각으로 볼 때 이는 고액 연봉을 받는 고급인력을 끌어모아 순수 AI 연구에 전념시키는 방식이 한계를 맞은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에 구글은 글로벌 AI 인재의 보금자리라는 명성을 보전하며 향후 AI 응용 연구를 강화할 전망이다.
20일 차상균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은 최근 외신을 통해 보도된 딥마인드의 작년 회계 실적을 인용하며 "최근 구글은 '새로운 투자에서 성과가 별로 없다, 몸집만 불어난 중년이 됐다'는 시장의 비판을 받아 왔다"며 "3주 전 단백질 합성 연구 '알파폴드(AlphaFold) 2'의 성과를 대대적으로 홍보한 것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고 평했다.
차 원장이 인용한 지난 17일 미국 경제매체 CNBC 보도에 따르면 딥마인드의 작년 손실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4억7700만파운드(약 7092억원)로 나타났다. 특히 딥마인드의 지출 대부분을 차지하는 '직원 및 기타 비용'은 전년대비 17.6% 증가한 4억6800만파운드(약 6958억원)였다. 이는 딥마인드에서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들의 고액 연봉이 반영된 숫자다.
차 원장은 "2016년 알파고로 우리나라와 세계에 충격을 줬을 때 불과 수십명이던 구글의 연구개발(R&D) 회사 딥마인드의 연구원 수가 (이제) 1000명 규모"라며 "구글 딥마인드의 2019년 R&D는 1조1000억원으로 (연구원 인건비가) 1인당 10억원"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든 연구원이 10억원 연봉을 받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문제는 1인당 10억원이 넘는 고비용 구조를 유지하며 한계에 도달한 현 패러다임의 AI 순수 연구 투자 지속이 가능할지"라며 "그렇다고 유럽의 쓸만한 AI 인재를 다 긁어모은 데미스 허사비스(딥마인드 CEO)의 기를 꺾으면 알파고, 알파폴드 하이프(hype)를 일으켜가며 어렵게 모은 인재들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차 원장은 "(구글·알파벳이) 당분간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AI 인재들의 보금자리라는 명성을 유지하며 응용 분야에 더 신경을 쓸 것"이라며 "(딥마인드의) 줄어든 대학 연구 지원금과 구글 내부의 늘어난 매출이 이 추세를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CNBC 보도에 인용된 딥마인드의 학계 지원금은 630만파운드(약 94억원)로, 전년대비 53.3% 줄었다.
20일 차상균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은 최근 외신을 통해 보도된 딥마인드의 작년 회계 실적을 인용하며 "최근 구글은 '새로운 투자에서 성과가 별로 없다, 몸집만 불어난 중년이 됐다'는 시장의 비판을 받아 왔다"며 "3주 전 단백질 합성 연구 '알파폴드(AlphaFold) 2'의 성과를 대대적으로 홍보한 것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고 평했다.
차 원장이 인용한 지난 17일 미국 경제매체 CNBC 보도에 따르면 딥마인드의 작년 손실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4억7700만파운드(약 7092억원)로 나타났다. 특히 딥마인드의 지출 대부분을 차지하는 '직원 및 기타 비용'은 전년대비 17.6% 증가한 4억6800만파운드(약 6958억원)였다. 이는 딥마인드에서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들의 고액 연봉이 반영된 숫자다.
차 원장은 "2016년 알파고로 우리나라와 세계에 충격을 줬을 때 불과 수십명이던 구글의 연구개발(R&D) 회사 딥마인드의 연구원 수가 (이제) 1000명 규모"라며 "구글 딥마인드의 2019년 R&D는 1조1000억원으로 (연구원 인건비가) 1인당 10억원"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든 연구원이 10억원 연봉을 받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차 원장은 "(구글·알파벳이) 당분간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AI 인재들의 보금자리라는 명성을 유지하며 응용 분야에 더 신경을 쓸 것"이라며 "(딥마인드의) 줄어든 대학 연구 지원금과 구글 내부의 늘어난 매출이 이 추세를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CNBC 보도에 인용된 딥마인드의 학계 지원금은 630만파운드(약 94억원)로, 전년대비 53.3% 줄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