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분업체계(GVC) 참여 구조 변화가 금융위기 이후 우리 수출을 감소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한국은행 조사국 이굳건 과장 등 연구진은 아시아개발은행이 발표한 최근 국제산업연관표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이처럼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우리나라의 GVC 참여구조 변화를 △수출에서의 완제품 비중 감소 및 중간재 비중 확대 △GVC 참여도 하락 △중국 의존도 심화 △역내 GVC에서의 역할 확대 등으로 요약했다.
이런 변화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수출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연구진 측은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인 2012∼2019년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1.9%로, 이전 기간(2001∼2011년) 10.4%에서 크게 둔화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GVC 변화의 수출 기여도는 금융위기 이전에는 연평균 1.2%포인트로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연평균 -0.3%포인트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금융위기 이후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리 수출기업의 생산시설 해외 이전, 중국과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 갈등 및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우리나라와 주요국 간 분업체계를 약하게 해 우리 수출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GVC가 구조적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게 연구진의 전망이다. 코로나19에 따른 중간재 공급망 안정성 확보 움직임, 보호무역주의 기조 지속,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발전 등으로 GVC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역내외 무역협정에 적극 참여해 무역장벽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주력 수출품목의 경쟁력을 높여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30일 한국은행 조사국 이굳건 과장 등 연구진은 아시아개발은행이 발표한 최근 국제산업연관표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이처럼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우리나라의 GVC 참여구조 변화를 △수출에서의 완제품 비중 감소 및 중간재 비중 확대 △GVC 참여도 하락 △중국 의존도 심화 △역내 GVC에서의 역할 확대 등으로 요약했다.
이런 변화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수출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연구진 측은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인 2012∼2019년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1.9%로, 이전 기간(2001∼2011년) 10.4%에서 크게 둔화했다.
연구진은 "금융위기 이후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리 수출기업의 생산시설 해외 이전, 중국과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 갈등 및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우리나라와 주요국 간 분업체계를 약하게 해 우리 수출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GVC가 구조적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게 연구진의 전망이다. 코로나19에 따른 중간재 공급망 안정성 확보 움직임, 보호무역주의 기조 지속,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발전 등으로 GVC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역내외 무역협정에 적극 참여해 무역장벽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주력 수출품목의 경쟁력을 높여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