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12년 이후 8년 만에 적자전환한 르노삼성자동차가 '서바이벌 플랜'을 가동하고, 모든 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하기로 했다. 르노그룹이 수익성 강화를 주문한 상황인데다 경쟁력 개선 없이는 향후 신차 프로젝트 수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절박한 상황이 반영됐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21일 르노삼성차는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해 서바이벌 플랜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우선 회사의 모든 정규직을 대상으로 이날부터 다음달 26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받는다.
희망퇴직을 신청한 직원에게는 근속연수에 따른 특별위로금과 자녀학자금, 신종단체상해보험, 차량할인, 장기근속휴가비, 전직지원서비스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르노삼성차는 희망퇴직 시 받게되는 모든 처우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인당 평균 1억8000만원 수준, 최대 2억원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르노삼성차는 내수 시장에서 경쟁 심화로 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수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던 닛산 로그 위탁 생산이 지난해 3월 종료되면서 수출도 위기인 상황이다.
지난해 르노삼성차는 내수와 수출을 합쳐 11만6166대를 판매해, 2019년(17만7450대)보다 판매량이 34.5% 줄었다. 2004년 이후 16년 만에 기록한 최저치다.
이에 르노삼성차는 연초부터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전체 임원의 40%를 줄였고, 남은 임원의 임금을 20% 삭감하고 있다.
이번 '서바이벌 플랜'에는 내수 시장에서 수익성을 더 강화하고, 수출 모델인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M3'의 원가 경쟁력 강화와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부산 공장의 생산 경쟁력을 입증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현재 르노삼성차는 르노그룹 내 공장들의 제조원가 경쟁 심화 등으로 미래 생산 물량 확보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르노그룹은 지난 14일 수익성 강화 전략 '르놀루션'을 발표하면서, 수익성을 더 강화해야 하는 지역으로 라틴아메리카, 인도와 함께 한국을 꼽았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해서는 대내외 경영 환경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르노삼성차 조직의 구조 개선과 함께 현재의 판매·생산량에 대응하는 고정비, 변동비의 축소와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21일 르노삼성차는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해 서바이벌 플랜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우선 회사의 모든 정규직을 대상으로 이날부터 다음달 26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받는다.
희망퇴직을 신청한 직원에게는 근속연수에 따른 특별위로금과 자녀학자금, 신종단체상해보험, 차량할인, 장기근속휴가비, 전직지원서비스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르노삼성차는 희망퇴직 시 받게되는 모든 처우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인당 평균 1억8000만원 수준, 최대 2억원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르노삼성차는 내수와 수출을 합쳐 11만6166대를 판매해, 2019년(17만7450대)보다 판매량이 34.5% 줄었다. 2004년 이후 16년 만에 기록한 최저치다.
이에 르노삼성차는 연초부터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전체 임원의 40%를 줄였고, 남은 임원의 임금을 20% 삭감하고 있다.
이번 '서바이벌 플랜'에는 내수 시장에서 수익성을 더 강화하고, 수출 모델인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M3'의 원가 경쟁력 강화와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부산 공장의 생산 경쟁력을 입증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현재 르노삼성차는 르노그룹 내 공장들의 제조원가 경쟁 심화 등으로 미래 생산 물량 확보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르노그룹은 지난 14일 수익성 강화 전략 '르놀루션'을 발표하면서, 수익성을 더 강화해야 하는 지역으로 라틴아메리카, 인도와 함께 한국을 꼽았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해서는 대내외 경영 환경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르노삼성차 조직의 구조 개선과 함께 현재의 판매·생산량에 대응하는 고정비, 변동비의 축소와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르노삼성자동차 로고. [사진=르노삼성자동차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