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들어서는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의 설계변경을 검토하자 강남구가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현대차그룹은 GBC의 층수를 기존 105층에서 50~70층으로 변경코자 하는데, 이렇게 되면 경제적 효과 반감이 불가피하다는 게 강남구 측 의견이다.
24일 강남구에 따르면 구는 이날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측에 면담을 요청했다. GBC를 당초 계획대로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함이다. 현대차그룹은 설계변경을 통해 GBC의 높이를 하향조정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GBC 기본·실시설계안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옛 한국전력 부지(7만4148㎡)에 지상 105층(569m) 타워 1개동과 숙박‧업무시설 1개동, 전시‧컨벤션‧공연장 등 5개시설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회사 측 설명과 최근 보도에 따르면 현재는 70층 2개동이나 50층 3개동 등으로 층수를 낮추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5년 층수 계획을 115층에서 105층으로 한 차례 낮춘 바 있다. 2014년 부지를 매입한 지 1년여 만의 일이었다.
서울시·강남구는 "사전협의 없는 설계변경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설계변경이 확정되면 125만명 규모의 신규 일자리와 268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가 반감된다는 설명이다. 인·허가 절차를 다시 진행하면 공사가 지연돼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인과 구민들의 피해가 가중된다는 지적도 있다.
정순균 강남구청장은 "현대차그룹은 회사와 투자자의 이익만을 위해 지역발전을 도외시하고 있다"며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수용,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현대차그룹은 GBC의 층수를 기존 105층에서 50~70층으로 변경코자 하는데, 이렇게 되면 경제적 효과 반감이 불가피하다는 게 강남구 측 의견이다.
24일 강남구에 따르면 구는 이날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측에 면담을 요청했다. GBC를 당초 계획대로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함이다. 현대차그룹은 설계변경을 통해 GBC의 높이를 하향조정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GBC 기본·실시설계안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옛 한국전력 부지(7만4148㎡)에 지상 105층(569m) 타워 1개동과 숙박‧업무시설 1개동, 전시‧컨벤션‧공연장 등 5개시설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5년 층수 계획을 115층에서 105층으로 한 차례 낮춘 바 있다. 2014년 부지를 매입한 지 1년여 만의 일이었다.
서울시·강남구는 "사전협의 없는 설계변경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설계변경이 확정되면 125만명 규모의 신규 일자리와 268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가 반감된다는 설명이다. 인·허가 절차를 다시 진행하면 공사가 지연돼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인과 구민들의 피해가 가중된다는 지적도 있다.
정순균 강남구청장은 "현대차그룹은 회사와 투자자의 이익만을 위해 지역발전을 도외시하고 있다"며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수용,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현대차그룹이 세울 지상 105층, 569m 높이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의 조감도. /서울시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