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효과로 IT시스템을 자체 데이터센터 대신 인터넷으로 빌려 쓰는 클라우드인프라 서비스 시장이 고속 성장하고 있다. 작년 한 해 세계 클라우드인프라 서비스 시장 규모가 우리 돈으로 16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시장조사기업 카날리스의 세계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 조사결과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이 시장 규모는 1420억달러(약 159조9000억원)로 전년대비 33% 증가했다. 작년초 컨설팅 주도로 추진되는 대형 프로젝트가 주춤했음에도 예상을 깬 성장이다.
작년 4분기 시장 규모는 399억달러(약 44조9000억원)로 전년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이는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와 기술 채널 협력사를 통해 클라우드인프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들의 투자가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됐다.
카날리스는 "팬데믹에 의한 (일상생활의) 제약이 지속됨에 따라 원격근무와 원격학습, 전자상거래, 콘텐츠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과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클라우드의 수요를 늘렸고, 동시에 경제적 신뢰가 점차 회복되면서 모든 산업의 기업들이 클라우드 투자를 촉진해 디지털전환을 주도하게 됐다"며 "클라우드 공급업체들은 올해 이후 추진될 프로젝트의 실현에 핵심인 높은 수요율과 고객 지원을 유지하기 위한 채널 파트너십 투자를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4분기 시장을 각 공급업체별로 나눠 보면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구글클라우드, 알리바바클라우드 순으로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4개사의 점유율을 모두 합치면 65%에 달한다.
AWS의 점유율은 32%(약 128억달러·전년동기 대비 28% 증가)다. AWS는 독립소프트웨어공급자(ISV)를 지원하고 신규 수직계열 파트너 협력을 추진하고 중소중견기업(SMB) 대상으로 서비스 보급을 확대하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 확장을 위한 파트너십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파트너 생태계 강화에 투자하고 있다.
MS애저의 점유율은 20%(약 80억달러·전년동기 대비 50% 증가)다. MS는 연단위 영업과 고객 성공 투자 전략, 글로벌 파트너 채널을 위한 타깃 인센티브 등을 통해 모든 고객 부문에 걸쳐 애저 공급을 가속화하는 데 주력했다. 협업툴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서비스형데스크톱 '윈도버추얼데스크톱(WVD)', 이밖에 여러 애저 서비스로 종속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구글클라우드는 점유율 7%(약 28억달러·전년동기 대비 58% 증가)를 차지해 세계 3위 업체로 소개됐다. 6개 수직계열 산업에 초점을 맞춰 이용자의 주권, 지속가능성, 멀티클라우드 관리 등을 지원하는 점을 강조하는 '오픈 클라우드' 전략에 방점을 찍었다. 영업 조직과 업종별 채널 파트너의 연계 활동으로 산업·기술 전문성을 갖춘 솔루션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됐다.
알리바바클라우드는 점유율 6%(약 24억달러·전년동기 대비 54% 증가)를 나타내, 구글클라우드와 근소한 차이를 보이며 세계 4위 기업으로 소개됐다. 4분기에 알리바바클라우드의 서비스를 무료 라이선스와 무제한 CPU코어로 재판매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파트너 프로그램을 내놓고 SMB를 겨냥한 구축형 어플라이언스를 선보여 다양해진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블레이크 머레이 카날리스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클라우드로 야기된 디지털화 수준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며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예산 책정에 기업들이 자신감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SAP 이전, 업무 전환 등에 따라 작년 초 늦춰졌던 대형 프로젝트가 다시 우선 추진해야 할 업무가 됐다"고 설명했다.
5일 시장조사기업 카날리스의 세계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 조사결과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이 시장 규모는 1420억달러(약 159조9000억원)로 전년대비 33% 증가했다. 작년초 컨설팅 주도로 추진되는 대형 프로젝트가 주춤했음에도 예상을 깬 성장이다.
작년 4분기 시장 규모는 399억달러(약 44조9000억원)로 전년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이는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와 기술 채널 협력사를 통해 클라우드인프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들의 투자가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됐다.

2018년 1분기~2020년 4분기 분기별 세계 클라우드인프라 서비스 기업 4개사 성장 추이. [자료=카날리스]
카날리스는 "팬데믹에 의한 (일상생활의) 제약이 지속됨에 따라 원격근무와 원격학습, 전자상거래, 콘텐츠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과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클라우드의 수요를 늘렸고, 동시에 경제적 신뢰가 점차 회복되면서 모든 산업의 기업들이 클라우드 투자를 촉진해 디지털전환을 주도하게 됐다"며 "클라우드 공급업체들은 올해 이후 추진될 프로젝트의 실현에 핵심인 높은 수요율과 고객 지원을 유지하기 위한 채널 파트너십 투자를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WS의 점유율은 32%(약 128억달러·전년동기 대비 28% 증가)다. AWS는 독립소프트웨어공급자(ISV)를 지원하고 신규 수직계열 파트너 협력을 추진하고 중소중견기업(SMB) 대상으로 서비스 보급을 확대하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 확장을 위한 파트너십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파트너 생태계 강화에 투자하고 있다.
MS애저의 점유율은 20%(약 80억달러·전년동기 대비 50% 증가)다. MS는 연단위 영업과 고객 성공 투자 전략, 글로벌 파트너 채널을 위한 타깃 인센티브 등을 통해 모든 고객 부문에 걸쳐 애저 공급을 가속화하는 데 주력했다. 협업툴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서비스형데스크톱 '윈도버추얼데스크톱(WVD)', 이밖에 여러 애저 서비스로 종속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2020년 4분기 분기별 세계 클라우드인프라 서비스 기업별 시장 점유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구글클라우드는 점유율 7%(약 28억달러·전년동기 대비 58% 증가)를 차지해 세계 3위 업체로 소개됐다. 6개 수직계열 산업에 초점을 맞춰 이용자의 주권, 지속가능성, 멀티클라우드 관리 등을 지원하는 점을 강조하는 '오픈 클라우드' 전략에 방점을 찍었다. 영업 조직과 업종별 채널 파트너의 연계 활동으로 산업·기술 전문성을 갖춘 솔루션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됐다.
알리바바클라우드는 점유율 6%(약 24억달러·전년동기 대비 54% 증가)를 나타내, 구글클라우드와 근소한 차이를 보이며 세계 4위 기업으로 소개됐다. 4분기에 알리바바클라우드의 서비스를 무료 라이선스와 무제한 CPU코어로 재판매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파트너 프로그램을 내놓고 SMB를 겨냥한 구축형 어플라이언스를 선보여 다양해진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블레이크 머레이 카날리스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클라우드로 야기된 디지털화 수준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며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예산 책정에 기업들이 자신감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SAP 이전, 업무 전환 등에 따라 작년 초 늦춰졌던 대형 프로젝트가 다시 우선 추진해야 할 업무가 됐다"고 설명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