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코로나19 피해 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정부 주도의 금융 지원이 1년 넘게 이어지는 속에서의 은행 대출 연체율 하락세가 ‘착시 현상’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금융권에서는 코로나19가 휩쓴 작년 보다 올해의 상황이 나아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경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올해 1월 기준 0.31%로 매년 1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찍었다. 기업대출 연체율의 경우 작년 말 보다 소폭 상승하는데 그쳐 경기회복의 신호탄으로 읽혀지기도 한다. 다만 이 같은 수치는 130조원에 달하는 정부의 코로나19 피해 지원에 가려진 현상에 불과하단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 등이 지난해 4월부터 이어져 올해 9월까지 지속될 예정이고, 9월 이후에도 은행과 협의해 차주가 상환 방법은 물론 기간까지 재설정할 수 있게 되면서다. 더욱이 올해 초부터 본격화된 시중금리 인상은 차주의 이자 상환 부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진단이다.
사정이 이렇자 업계는 코로나19 관련 대출 폭탄이 터지기 전에 이자 상환조차 어려운 좀비기업과 한계차주 등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 역시 현재의 금융권 사정을 놓고 낙관하지만은 않고 있다.
서상원 중앙대 경제학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고서 정부의 막대한 금융 지원으로 유동성이 공급됐고, 이것이 마치 금융 환경이 좋아진 것으로 비쳐지고 있지만 정작 실물 대비 금융시장이 좋다고만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업을 강타한 일련의 사모펀드 사태를 봐도 기본적인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가 문제인데, 이는 금융 환경이 좋지 않을 때 통상적으로 드러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주요 금융그룹이 지난해 거둔 최대 순익 등 지표상의 ‘버블(거품)’을 지목했다. 올해 하반기 코로나19 대출 관련 상환 유예 조치가 한계에 달해, 결국 감춰진 부실 대출 문제가 부상하면 실적 거품이 걷힐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본부장은 “앞으로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 종료, 부도기업 증가, 한계 차주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등이 그려진다”며 “이를 고려할 때 올해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은 지난해 보다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올해 1월 기준 0.31%로 매년 1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찍었다. 기업대출 연체율의 경우 작년 말 보다 소폭 상승하는데 그쳐 경기회복의 신호탄으로 읽혀지기도 한다. 다만 이 같은 수치는 130조원에 달하는 정부의 코로나19 피해 지원에 가려진 현상에 불과하단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 등이 지난해 4월부터 이어져 올해 9월까지 지속될 예정이고, 9월 이후에도 은행과 협의해 차주가 상환 방법은 물론 기간까지 재설정할 수 있게 되면서다. 더욱이 올해 초부터 본격화된 시중금리 인상은 차주의 이자 상환 부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진단이다.
사정이 이렇자 업계는 코로나19 관련 대출 폭탄이 터지기 전에 이자 상환조차 어려운 좀비기업과 한계차주 등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 역시 현재의 금융권 사정을 놓고 낙관하지만은 않고 있다.
서상원 중앙대 경제학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고서 정부의 막대한 금융 지원으로 유동성이 공급됐고, 이것이 마치 금융 환경이 좋아진 것으로 비쳐지고 있지만 정작 실물 대비 금융시장이 좋다고만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업을 강타한 일련의 사모펀드 사태를 봐도 기본적인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가 문제인데, 이는 금융 환경이 좋지 않을 때 통상적으로 드러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주요 금융그룹이 지난해 거둔 최대 순익 등 지표상의 ‘버블(거품)’을 지목했다. 올해 하반기 코로나19 대출 관련 상환 유예 조치가 한계에 달해, 결국 감춰진 부실 대출 문제가 부상하면 실적 거품이 걷힐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본부장은 “앞으로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 종료, 부도기업 증가, 한계 차주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등이 그려진다”며 “이를 고려할 때 올해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은 지난해 보다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