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지난해 2.1조 전략 투자...코로나에도 전년比 5배 증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성현 기자
입력 2021-03-21 11: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자동차업계 침체에도 신규 전략투자 규모를 2019년 대비 5배나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율주행 투자에 집중됐다.

21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의 지난해 신규 전략투자금은 2조989억원이다. 전년(4165억원) 대비 403.9% 증가한 수치다. 현대차가 1조3796억원, 기아가 7192억원을 투자해 각각 전년 대비 443.9%, 341.6% 늘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미국 자율주행 기술업체인 앱티브와의 합작사인 모셔널에만 1조9913억원을 투자했다. 전체 신규전략투자금의 94%가 자율주행 부문이었다.

지난해 3월 설립된 모셔널은 자율주행차 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모셔널은 산업 분야 인증 전문 기관인 TUV SUD로부터 업계 최초로 운전석을 비워 둔 상태의 자율주행(레벨 4 수준) 기술과 안전성을 인증받았다.

지난해 11월 미국 네바다주로부터 일반도로에서 무인 자율주행차를 시험할 수 있는 허가도 받았다.

모셔널은 2023년부터 미국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 리프트의 플랫폼에 최대 규모의 양산형 로보택시를 공급하며 본격적인 자율주행에 나설 계획이다.

현대차는 모셔널의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해 자사 자율주행차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투자도 눈에 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유럽 최대 전기차 초급속 충전업체 아이오니티(IONITY)에 1023억원을, 유럽 에너지 솔루션 스타트업 GRZ에 13억원을 전략 투자했다.

현대차는 아이오니티 투자로 확보한 전기차 충전 노하우를 활용해 국내에 초급속 충전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기아는 이미 GS칼텍스 주유소 내 전기차 초급속 충전기 설치를 추진 중이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공유 등 e모빌리티 전문 기업 투자도 단행했다.

기아는 지난해 전기차 기반 e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기업인 퍼플엠에 18억원을 투자했다. 기아는 코드42의 통합모빌리티 플랫폼 '유모스'를 활용하기 위해 지난해 별도 법인인 퍼플엠을 설립했다.

유모스는 자율주행차, 드론, 배달로봇 등 다양한 미래 이동 수단을 이용한 카헤일링(차량호출), 카셰어링(차량공유), 스마트 물류, 음식 배달, 온라인 쇼핑 등 모빌리티 서비스를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이다.

현대차그룹은 스타트업 육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00억원의 투자를 받은 마키나락스가 대표적이다.

마키나락스는 제조공정 AI(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자체 개발한 이상 탐지 모델과 지능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장비 고장과 품질 이상을 예측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인다. 이밖에 분사한 사내 스타트업 9개에도 각각 3억~25억원을 전략 투자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