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도지사가 공동의장을 맡고 있는 언더2연합을 통해 국제 공조를 이끌고,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산하 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하며, 도 자체 모니터링 등도 강화한다.
양 지사는 19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연 실국원장회의를 통해 “충무공의 후예 충청남도가 이순신의 마음으로 방사능 왜란에 맞서 싸우겠다”며 강력한 대응 입장을 다시 한 번 밝혔다.
이 자리에서 양 지사는 “일본 정부는 과학적 진리를 무시하고, 세계와 인류 공통의 상식을 저버리고 있다. 한국과 중국 등 인접국과 국제사회와의 협의 없는 무책임한 결정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방사성 물질 포함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에 대한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구체적으로 양 지사는 “언더2연합을 통해 국제적 공동성명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기구에 공동 대응할 것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바다와 인류 공동체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 도가 가용할 수 있는 모든 국제적인 자원을 활용해 세계와 함께 이를 막아 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이 양 지사의 뜻이다.
전국 지방정부와의 대응 강화 입장도 재확인 했다.
양 지사는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아래에 특별위원회 형식의 공동협력기구를 만들 것을 제안하겠다”며 “이를 통해 방사능 오염수 유출에 따른 법·제도·과학적 대응 논리를 마련하고, 정치적 대응 방안을 강구하는 등 17개 지방정부가 함께 힘을 모으고 협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충남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도 차원에서는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방사능 영향 분석에 힘쓰기로 했다.
또 수산물 관리 강화로 어업인들의 피해를 막고, 도민들의 먹거리 불안감을 해소해 나아갈 방침이다.
양 지사는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와 인류를 향한 선전포고”라며 “일본 정부가 세계의 생존을 위협하는 방사능 왜란을 시작한 만큼, 충청남도가 이를 적극적으로 막는데 앞장서겠다. 충남의 바다, 한국의 바다, 세계의 바다를 충청남도가 앞장서 지켜내겠다”고 덧붙였다.
의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발생한 방사능 오염수 처리 방안으로 해양 방류를 결정했다”며 “이는 우리 모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인류와 자연에 대한 무자비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의원들은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기준치 아래로 낮추어 방류하겠다고 주장하지만 방사능 물질을 얼마나 제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나와있지 않다”며 “설비를 통해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의 경우 희석하면 농도는 옅어질지 모르나 오염물질 총량은 동일하기에 결코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 정부가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강행한다면 회복할 수 없는 해양오염 사태가 이어지고 전 세계를 위협하는 심각한 재앙이 될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방류 결정을 즉각 철회하고 오염수에 관한 모든 정보를 대한민국 정보와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일본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발생한 방사능 오염 수 처리 방안으로 해양 방류를 최종 결정했다.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은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수소폭발로 방사능 유출 사고가 일어났다. 이때부터 발생한 방사능 오염 수는 현재 125만 844톤이 저장되어 있다.
일본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기준치 아래로 낮추어 해양으로 방류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런 정화작업으로 방사성 물질을 얼마나 제거할 수 있는지 연구 결과가 나와 있지 않다.
또한, 일본정부는 유전자 변형과 세포가 사멸할 수 있고 다핵종제거설비로 제거되지 않는 삼중수소는 기준치 이하로 희석하여 방류하면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수를 희석하면 오염의 농도는 옅어질지 모르나 오염물질의 총량은 동일하므로 결코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일본정부가 방사능 오염 수 해양방류를 강행한다면 회복할 수 없는 해양오염 사태가 이어질 것이며, 해양생태계에 축적된 방사성 물질은 전 세계를 위협하는 심각한 재앙이 될 것이다. 특히, 일본과 가장 인접해 있는 우리나라는 큰 피해를 입게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