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럼에서 지평 ESG센터 이준희 전략그룹장은 "국내 기업들의 ESG 경영 이행 현황 및 과제 - 지속가능경영 전략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제했다. 이 그룹장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ESG 투자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기업들은 그동안 부수적이고 분할적인 관점에서 다뤄왔던 비재무적 요소를 경영의 새로운 위기이자 기회로 바라보는 통합적 접근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그룹장은 기업 경영 측면에서 주목할 ESG 핵심 과제로 ▲이니셔티브 및 기회 선점 전략 ▲ESG 정보관리 체계화 ▲규제 동향 및 리스크 운영관리 체계 고도화 ▲거버넌스 및 조직 구성 변화의 4가지를 꼽았다. 나아가 이 그룹장은 "신사업 전략에 있어 수익성 외에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통한 건강한 파트너십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면서 "기업의 그린워싱(Greenwashing, 녹색 경영을 빙자한 이미지 세탁)을 방지하고 투명한 경영을 유도할 시민사회의 감시 및 견인 기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음 발제에 나선 지현영 변호사는 ESG를 구성하는 지표 측정과 공시 작업에 착수한 업계의 움직임을 소개했다. '대표적인 표준화 및 프레임워크 기관, 데이터 제공 기관과 등급 기관 및 다양한 투자자 이니셔티브' 등의 등장이 그 사례였다. 또한 지 변호사는 최근 글로벌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공시 표준을 통합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지 변호사는 'ESG 규제'에 앞장서고 있는 유럽연합의 최근 규제동향을 소개했다. 지난달 공개된 EU의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의 최종개정안에는 기존보다 더 많은 기업에 보다 엄격한 비재무지표의 공개 의무를 부여하는 내용이 담겼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지 변호사는 해외에서 불성실공시, 증권사기 및 표시광고 관련 소송이 증가하고 있는 동향을 소개했다.
이어 포럼 2부에서는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최동진 소장, 백명수 시민환경연구소 소장,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이사의 토론이 진행됐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최 소장은 "기업뿐 아니라 인류의 존립과 관련된 문제로 ESG 관련 이슈는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이며, ESG가 또 다른 그린워싱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시민사회 안에서도 기업의 ESG 경영을 평가하는 지표 및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시민환경연구소의 백 소장은 "시민사회가 기업활동의 평가와 검증을 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ESG 경영을 하도록 유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시민사회 역량 강화와 적절한 국내 규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지막 토론자인 녹색전환연구소 이 이사는 올해 최대 분기 실적을 낸 모 기업의 실적 설명회에서 비재무요소에 속하는 환경, 사회 이슈를 중점적으로 강조됐다며 "기후변화의 리스크가 커짐에 따라 ESG가 단순히 유행에 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ESG를 데이터로 검증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공개해 그린워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포럼은 기후변화행동연구소의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 볼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