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진이 코스닥 시장에서 강세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파나진은 오전 10시 2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6.40%(380원) 오른 64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장가격 기준 시가총액은 2034억원으로 코스닥 시장에서 526위다.
파나진 주가가 오름세다. 표적항암제의 적절한 처방을 위해 꼭 필요한 유전자 변이 검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PNA 세계 1위 업체라는 점이 부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파나진은 인공유전자인 PNA(Peptide Nucleic Acid)를 기반으로 하는 소재 및 유전자 진단제품 전문 업체다. PNA 소재 자체도 판매하지만 분자진단제품 및 진단 자동화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 163억원, 영업이익 5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104.6% 늘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한때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며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현재는 관리종목에서 지정 해제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PNA 소재는 DNA와 물리적·화학적으로 더 강하게 결합한다는 특성이 있어 바이오센서(Biosensor), 항원(Antigene) 기술 개발 등에 활용된다"며 "가장 대표적인 분야가 체내 바이오마커를 활용해 질병의 발생·진행·예후를 검사 또는 진단하는 분자진단 분야"라고 소개했다.
파나진 주가가 오름세다. 표적항암제의 적절한 처방을 위해 꼭 필요한 유전자 변이 검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PNA 세계 1위 업체라는 점이 부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파나진은 인공유전자인 PNA(Peptide Nucleic Acid)를 기반으로 하는 소재 및 유전자 진단제품 전문 업체다. PNA 소재 자체도 판매하지만 분자진단제품 및 진단 자동화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 163억원, 영업이익 5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104.6% 늘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한때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며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현재는 관리종목에서 지정 해제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