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당성, 고대 해상 실크로드의 관문···역할과 위상 ‘재조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화성)강대웅·송인호 기자
입력 2021-05-11 16: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양대박물관, 기와. 토기.도기류 제품 대량 발굴···대중국 교역의 중요기지 입증

화성시의 의뢰로 한양대박물관이 유물 발굴 작업을 벌이고 있는 당성 조사지 전경[사진=화성시 제공]

화성 당성이 고대 해상 실크로드의 관문이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 다량으로 발굴돼 당성의 역할과 위상이 재조명되고 있다.

화성시 의뢰로 발굴조사를 맡은 한양대학교 박물관은 11일 이번 발굴에서 여러 차례 증개축된 대형 건물지에서 명문와를 포함한 기와, 토기류, 도기류, 자기류, 금속류, 석제품 등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안신원 한양대학교 박물관장은 “이번 발굴에서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유물과 국제 교류관계를 알 수 있는 유물들이 대거 발굴됨에 따라 과거 당성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며 “당성은 행정적, 군사적 거점이자 대중국 교역의 중요기지였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당성 초축과 관련된 1차성 내의 대형 건물지에 대한 정밀조사가 이뤄졌다.

이 건물지는 적심이 축조된 층위와 축조 방식, 형태 등을 보아 6세기 후반에서 12세기에 이르기까지 3차례 이상 반복적으로 개보축 및 확장됐으며 기존의 적심과 초석이 재활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출토된 유물들은 신라가 한강유역을 점유한 이후부터 고려시대 초중반까지의 것들로 행정기관에서 사찰로 변모하는 특성을 보이며 2차 축성의 이유를 파악하는 근거가 될 전망이다.

특히 주목되는 유물은 명문와이다.
 

당성 유적지에서 발굴된 양모(梁謀)명 기와 명문 부분,  웅천주(熊川州)명 기와 명문 부분. 청동 초두 모습[사진=화성시 제공]

 
신라의 핵심세력인 6부 중 하나로 ‘본피모(本彼謀)’와 ‘양모(梁謀)’명 기와가 출토돼 신라 중앙정부로 부터의 관리를 받고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관청 등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관(舘)’, ‘관택(舘宅)’, ‘관(官)’명 기와, 건물의 기능 변화와 관련된‘신동(新棟)’, ‘백사(白寺)’ 등이 새겨진 기와가 함께 발굴됐다.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기와로 ‘임신(壬申)”, “무인(戊寅)”, “병오(丙午)”명 기와와 통일신라의 행정구역인 9주의 하나로 686년 설치돼 757년 웅주로 이름이 바뀌기 전까지 사용된 ‘웅천주(熊川州)’명 기와도 출토됐으며 이 밖에 청동 초두(鐎斗)가 발견됐다.

또한 중국의 형요(邢窯) 및 정요(定窯) 백자편과 월주요(越州窯) 청자편이 출토돼 국제교류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다.

서철모 화성시장은 “당성의 초축시기와 삼국시대 이후 당성의 기능을 확인하는 조사와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당성의 역사적 가치를 바탕으로 우리 시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