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백신 허브’ 발돋움…K-바이오, 다음 과제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환욱 기자
입력 2021-05-24 16: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mRNA 백신, 특허로 핵심 기술 접근 어려워

  • "장기화한 팬데믹에 백신 가격 인하 필수"

  • "특허 유예·단가 낮춰야 백신 허브 국가

23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삼성바이오로직스 건물 전경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는 전날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백신 파트너십' 행사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 국가로 발돋움을 하고 있다. 바이러스 벡터 방식, 단백질 재조합 방식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생산과 더불어 mRNA(메신저 리보핵산) 위탁생산까지 맡게 되면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국이 진정한 백신 허브 국가로 거듭나기 위해선 코로나19 백신 특허 문제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진단했다. 더 나아가 mRNA 기술을 비롯한 핵심 기술들을 한국화하기 위한 인력 양성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24일 코로나19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등에 따르면 한·미 양국 정부와 제약사들은 지난 21~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과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행사 등을 통해 백신 생산·연구 분야에서 총 4건의 계약 및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특히 글로벌 1위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업체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3분기부터 미국 모더나 사(社)의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의 백신 원액을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최종 형태로 만드는 '완제(병입) 충전' 공정을 담당한다. 이 공정을 통해 생산된 수억회분의 백신은 미국 외 지역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이로써 국내에선 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아스트라제네카·스푸트니크V 백신, 합성항원 방식의 노바백스 백신과 더불어 mRNA 기반 백신 생산까지 이뤄지게 됐다. mRNA는 화이자·모더나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면서 사용한 백신 플랫폼으로, 기술 난도가 높은 의료기술이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의 항원 유전자를 mRNA 형태로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예방 효과가 90% 이상인 데다 신속한 개발이 가능해 차세대 백신으로 떠오르고 있다.

백신 파트너십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모더나의 계약 외에도 SK바이오사이언스와 코로나19 백신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노바백스는 양측 간의 백신·개발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이처럼 국내 주요 바이오 기업들의 백신 위탁생산 관련 호재가 잇따르면서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 국가로 한 걸음 더 다가간 것에 대해 우선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지만, 세계 시장에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가장 큰 과제는 '백신 특허'다.

전문가들은 이번 한·미 백신 파트너십의 성과는 아직까지 '백신 공장만 빌려주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 이유는 '백신 특허'로 핵심 기술은 공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은 포장 공정에 해당하는 완제충전 방식일 뿐, 리피트나노파티클(LNP) 등 mRNA 백신의 핵심 기술은 계약에서 빠졌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백신 특허 유예를 위해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서 나서야 하며, 동시에 한국만의 핵심 기술 고도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형준 보건의료단체 정책위원장은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백신 위탁 생산 계약 체결은 우선 좋은 일이다. 한국이 전 세계 공익에 이바지한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면서도 "백신 특허와 백신 생산기술에 대한 특허 유예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팬데믹 상황에서 그 부분이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백신 특허 유예가 중요한 이유는 생산된 백신의 가격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정 위원장은 "코로나19 백신의 효과 지속 기간이 얼마만큼 될지 모른다. 접종 완료자도 언제 또다시 맞아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이를 고려할 때 대량생산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제품 가격이 절대 높아선 안 된다. 그런데 위탁생산만 해선 가격결정권이 없다. 백신 생산을 잘할 테니 공익적 측면에서 특허를 유예하고 비용을 낮춰달라고 제약사 측에 정부와 기업이 함께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실제 백신 특허가 유예될 수 있을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164개국에 이르는 WTO 회원국이 모두 동의하지 않으면 제약사들의 지적재산권 행사를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일단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찬성 입장을 밝혔지만, 독일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이 반대하고 있어 논의가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전문가는 mRNA 플랫폼 기술을 비롯한 국내 바이오 기술 고도화를 위한 노력도 함께 가야 한다는 견해도 내놓았다.

국제백신연구소 한국후원회장인 박상철 전남대 석좌교수는 "특허가 걸린 mRNA 플랫폼이 백신에서 새로운 기술인데, 우리는 이를 피해서 백신을 개발할 역량이 없다. 우리나라의 생명과학 기초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이라며 "바이오 업계의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생명과학계 인력 양성이 함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