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는 3일 "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부동산 투기 조사 및 수사 중간 결과 관련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열고 "지난 3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등 공직자들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국민 여러분께 큰 충격과 실망을 드렸다"며 "정부는 이번 사건을 부동산 정책은 물론 공직자 신뢰에 대한 위기로 엄중히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3월 경찰청에 1560명 규모의 정부합동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하고, 공직자 투기의혹 뿐 아니라 부동산 시장의 불법행위 전반을 대상으로 수사를 진행했다. 이와 별도로 검찰에는 641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설치하고, 경찰과의 유기적인 수사협력과 함께 직접 수사도 했다.
김 총리는 "부동산 투기 의혹 수사에 착수한 지 석달여가 지났다"며 "조사와 수사는 그 특성상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행 중인 사건이 많다"고 전했다.
김 총리는 이어 "정부 합동 특별수사본부는 합동조사단의 수사 의뢰, 국민권익위 신고센터 접수 사안, 자체 첩보로 인지한 사건 등 총 646건, 약 2800명에 대해 수사를 진행했다"며 "그 결과 20명을 구속하고 529명을 검찰에 송치했다"고 말했다.
그는 "검찰은 별도의 직접 수사를 통해 기획부동산 등 14명을 구속했다"면서 "검·경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몰수・추징 보전 조치한 부동산 투기 수익은 현재까지 총 908억원"이라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그러면서 "국세청의 부동산 탈세 특별조사단은 2차례에 걸쳐 총 454명에 대한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세금 탈루 의혹이 밝혀진 94건에 대해서는 534억원의 세금을 추징할 예정"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또 "금융위와 금감원은 불법 대출이 의심되는 4개 금융회사를 현장 점검했다"며 "현재까지 43건, 총 67명을 수사의뢰했다"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고위 공직자에 대한 조사와 수사는 현재 진행형"이라며 "정부는 유사한 불법행위가 다시는 발붙일 수 없도록 기한을 두지 않고 성역 없이 수사하고 조사할 것"이라는 의지를 내비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