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세계 최초 반도체 全사업장 영국 ‘탄소·물·폐기물 저감’ 인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석유선 기자
입력 2021-06-03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트리플 스탠다드(Triple Standard)' 라벨 취득

  • 생산~공급까지 반도체 전 단계서 감축 노력… ESG 경영 강화

삼성전자 DS(Device Solutions)부문의 친환경 경영 노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삼성전자는 전세계 반도체 업계 최초로 전 사업장에 대해 영국 카본 트러스트의 '탄소·물·폐기물 저감' 인증을 받았다고 3일 밝혔다.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는 영국 정부가 2001년 기후 변화 대응 및 탄소 감축 방안의 일환으로 설립한 친환경 인증 기관이다.

삼성전자는 기흥·화성·평택·온양·천안 등 국내 사업장 5곳과 미국 오스틴, 중국 시안·쑤저우·톈진 등 총 9개 전 사업에 대해 '탄소, 물, 폐기물 저감' 인증을 받고, '트리플 스탠더드(Triple Standard)' 라벨을 취득했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삼성전자 제공]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 제품은 갈수록 미세화, 고집적화 추세라 제조 공정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물의 사용과 탄소, 폐기물의 배출도 함께 늘어나 반도체 전 사업장에서 해당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2020년 탄소, 물, 폐기물을 2018년~2019년 각 생산공정에서 사용·배출되는 평균량(원단위 기준 환산) 대비 각각 9.6%, 7.8%, 4.1% 저감해 ‘트리플 스탠다드 기준을 충족했다. 

트리플 스탠더드는 3년 간 사업장의 탄소 배출량 3.7%, 물 사용량 2.2%, 폐기물 배출량 2.1%를 저감하고, 각 분야의 경영 체제에 대한 종합 평가 기준을 만족한 기업에게 수여된다.

삼성전자는 2019년 미국, 중국 등 해외 반도체 사업장에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해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했으며, 국내 사업장의 경우 태양광, 지열 발전 시설을 설치해 일부 사무실 전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온실가스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온실가스 저감 장치에 들어가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하는 등 탄소 저감 활동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2020년 생산량 기준 환산시 약 130만t의 탄소 배출량을 원단위 기준 9.6% 저감했다. 이는 서울시 2배 면적에 해당하는 소나무를 심어야 흡수할 수 있는 양이다.
 

영국 카본 트러스트 '트리플 스탠다드' 라벨 [사진=삼성전자 제공]



◆물 사용량 저감 비결은 공정 내 용수 최적화, 멤브레인 기술

삼성전자는 초순수를 정제하고 남은 물을 옥상 습식 세정 시설, 냉각탑 등에 재사용하고, 멤브레인(필터) 기술을 활용한 폐수 정화를 통해 물 재이용량을 높였다. 반도체 전 사업장의 2020년 물 재이용량은 약 7000만t으로, 이는 2018~2019년 대비 약 12% 증가한 수치다.

또한 일부 중수도 설비를 통합하여 설비 운전 효율을 높이고, 제조 공정 최적화 등을 통해 물 사용량을 줄였다. 이를 통해 2020년 생산량 기준 환산 시 물 사용량 1025만t 줄였다. 이는 화성시와 용인시의 약 200만 인구가 한 달 동안 사용하는 물의 양(2019년 환경부 상수도 통계 기준)과 비슷한 규모다.
 

삼성전자 임직원들이 사내에서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분리수거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대체 소재로 폐수 슬러지 감축, 재활용 분리배출 체계 바꿔

삼성전자는 소재 변경을 통해 폐수 슬러지를 대폭 감축했다. 폐수 슬러지란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나온 침전물로, 전체 폐기물 발생량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공정에서 사용하는 소재를 전환하고, 특정 설비에 공급되는 소재의 양을 최적화해 폐수 슬러지를 줄였다.

또한 라인에 입고 되는 제품의 포장 기준을 수립해 골판지 사용량, 비닐 포장 횟수, 노끈 묶음 횟수 등을 줄여 일회용 포장재 배출량도 감축했다.

일반 사무실에서 나오는 재활용품의 분리배출 체계도 개선했다. 기존의 3종 분리배출함을 세분화해 6종으로 변경했다. 올바른 분리배출 문화 정착을 위해 '비헹분섞(비우고, 헹구고, 분리하고, 섞지 않고)'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런 노력으로 2020년 생산량 기준 환산시 3만5752t의 폐기물을 감축했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2009년부터 현재까지 총 41개 반도체 제품에 대해 국내외 기관으로부터 탄소 발자국과 물 발자국 등 제품 환경 인증도 취득했다.

장성대 삼성전자 DS부문 지속가능경영사무국 전무는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탄소, 물, 폐기물 분야에서 수십 년간 다각도로 노력해 사업장 경영지표로 관리해왔다"라며 "초미세 공정 기반 저전력 반도체, 친환경 수처리를 통한 지역 생태계 복원, 온실가스 저감 설비 개발 등으로 반도체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DS부문 환경팀 임직원들 [사진=삼성전자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