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내준 세계경제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공급망과 정보기술(IT) 강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해 범정부적으로는 물론 민간기관과의 협력에도 나서고 있다.
10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바이든 행정부가 AI 연구자들이 더 많은 정부 자료(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민관 TF를 발족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TF는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을 주축으로 정계·학계·산업계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됐다.
WSJ에 따르면 해당 TF의 이름은 '전미 AI 리서치 리소스 TF(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Resource Task Force)'로, 앞으로 의료·운전정보·인구학 통계 등 미국 정부가 보유한 자료를 AI 연구자에게 공유하는 문제 등 AI 연구 원천 자료 사회기반시설(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 이를 위한 포괄적인 단계별 이행안(로드맵)과 실행 계획을 포함한 보고서를 미국 의회에 2022년 5월(중간보고서)과 11월(최종보고서) 두 차례 제출할 예정이다.
TF 공동의장을 맡은 세터라만 판차나산(Sethuraman Panchanathan) NSF 이사는 AI 기술 발전에 대해 "지금은 속도와 규모를 강화해야 하는 시기"라며 "정부가 외부 AI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공동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의회에 제출하는 것이 TF 출범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판차나산 이사는 "TF는 AI의 미래 혁신을 견인할 연구 인프라를 구상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TF의 공동의장을 맡게 돼 기쁘다"라며 "학계, 산업계, 정부 등 미국 최고의 AI 전문가들이 흥미롭고 설득력 있는 미래를 도표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학, 공학, 경제 등 모든 분야에서 미국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WSJ에 따르면 TF 구성원에는 알파벳의 구글 클라우드 AI 책임자인 앤드루 무어도 포함됐다.
WSJ은 이번 조치가 지난해 미국 의회를 통과한 '국가 AI 구상(the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Initiative Act of 2020)' 법안에 따른 것이라며, 미국의 기술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미국 상원이 '중국 견제법'으로 불리는 '미국 혁신 경쟁법'을 통과시키고, 백악관이 공급망 대응 전략 보고서를 발표한 이후 해당 TF가 출범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상원에서 찬성 68표, 반대 32표의 압도적 표차로 통과한 '미국 혁신 경쟁법'은 5세대 이동통신(5G)과 AI 기술 등 중국과 직접 경쟁하는 분야에 2500억 달러(약 280조원)를 지원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상원을 통과한 해당 법원은 조만간 하원을 통과한 뒤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 후 발효될 예정이다.
백악관은 지난 8일 반도체와 대용량 배터리, 희토류 등 필수광물, 제약 등 4가지 분야에 대한 범정부 검토를 거친 공급망 대응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바이든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지난 2월 24일부터 100일간 공급망 분야 검토를 한 이후 발표된 것이다. 250쪽 분량의 보고서엔 중국을 지칭하는 단어 'China·Chinese'가 561번 등장했고, 4대 핵심 분야 공급망의 최대 위협 요소를 '중국'으로 규정해 대중 견제 전략 보고서라는 평가가 나왔다.
WSJ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에서도 새로운 AI 연구기관을 설립하고, AI 연구자들에게 더 많은 정부 자료를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했었다고도 언급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전임 행정부의 대중(對中) 견제 전략 기조를 이어가고, 관련 정책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매체는 "AI 개발의 진전은 많은 양의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에 달렸다"면서 "워싱턴(미국 행정부)과 재계에서는 중국과 러시아 등이 AI 분야에서 미국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위협하는 것도 (이들 국가가) 부분적으로 데이터 접근 및 활용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주요 외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11~13일 영국 콘월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중국 견제 행보를 강화한 것에 주목하며, 미국이 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동맹국의 대중 압박 참여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에 나서며 "동맹 강화가 목표다. 러시아와 중국에 유럽과 미국은 긴밀한 관계"라며 "G7이 함께 움직일 거라는 사실을 확실하게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10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바이든 행정부가 AI 연구자들이 더 많은 정부 자료(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민관 TF를 발족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TF는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을 주축으로 정계·학계·산업계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됐다.
WSJ에 따르면 해당 TF의 이름은 '전미 AI 리서치 리소스 TF(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Resource Task Force)'로, 앞으로 의료·운전정보·인구학 통계 등 미국 정부가 보유한 자료를 AI 연구자에게 공유하는 문제 등 AI 연구 원천 자료 사회기반시설(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 이를 위한 포괄적인 단계별 이행안(로드맵)과 실행 계획을 포함한 보고서를 미국 의회에 2022년 5월(중간보고서)과 11월(최종보고서) 두 차례 제출할 예정이다.
TF 공동의장을 맡은 세터라만 판차나산(Sethuraman Panchanathan) NSF 이사는 AI 기술 발전에 대해 "지금은 속도와 규모를 강화해야 하는 시기"라며 "정부가 외부 AI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공동 연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의회에 제출하는 것이 TF 출범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WSJ은 이번 조치가 지난해 미국 의회를 통과한 '국가 AI 구상(the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Initiative Act of 2020)' 법안에 따른 것이라며, 미국의 기술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미국 상원이 '중국 견제법'으로 불리는 '미국 혁신 경쟁법'을 통과시키고, 백악관이 공급망 대응 전략 보고서를 발표한 이후 해당 TF가 출범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상원에서 찬성 68표, 반대 32표의 압도적 표차로 통과한 '미국 혁신 경쟁법'은 5세대 이동통신(5G)과 AI 기술 등 중국과 직접 경쟁하는 분야에 2500억 달러(약 280조원)를 지원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상원을 통과한 해당 법원은 조만간 하원을 통과한 뒤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 후 발효될 예정이다.
백악관은 지난 8일 반도체와 대용량 배터리, 희토류 등 필수광물, 제약 등 4가지 분야에 대한 범정부 검토를 거친 공급망 대응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바이든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지난 2월 24일부터 100일간 공급망 분야 검토를 한 이후 발표된 것이다. 250쪽 분량의 보고서엔 중국을 지칭하는 단어 'China·Chinese'가 561번 등장했고, 4대 핵심 분야 공급망의 최대 위협 요소를 '중국'으로 규정해 대중 견제 전략 보고서라는 평가가 나왔다.
WSJ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에서도 새로운 AI 연구기관을 설립하고, AI 연구자들에게 더 많은 정부 자료를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했었다고도 언급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전임 행정부의 대중(對中) 견제 전략 기조를 이어가고, 관련 정책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매체는 "AI 개발의 진전은 많은 양의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에 달렸다"면서 "워싱턴(미국 행정부)과 재계에서는 중국과 러시아 등이 AI 분야에서 미국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위협하는 것도 (이들 국가가) 부분적으로 데이터 접근 및 활용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주요 외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11~13일 영국 콘월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중국 견제 행보를 강화한 것에 주목하며, 미국이 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동맹국의 대중 압박 참여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일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에 나서며 "동맹 강화가 목표다. 러시아와 중국에 유럽과 미국은 긴밀한 관계"라며 "G7이 함께 움직일 거라는 사실을 확실하게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