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준 의원, 범죄피해자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 발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경산)김규남 기자
입력 2021-06-16 17: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범죄피해자 실질적 보호 위해 구조금 늘려야

홍석준 국회의원(국민의 힘, 대구 달서 갑) [사진=홍석준 국회의원실]

국민의힘 홍석준 국회의원(대구 달서구갑)이 16일 범죄피해자의 실질적 보호를 위해 구조금 상한을 대폭 상향하는 '범죄피해자 보호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범죄피해자 구조금 제도는 범죄로 인해 사망하거나 장해·중상해를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를 배상받지 못한 경우 국가가 범죄피해자나 유가족에게 구조금을 대신 지급하는 제도다. 피해자나 유족의 실질적인 피해 회복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

피해자가 생명·신체상 위해를 당하더라도 가해자가 불명이거나 무자력인 경우 사실상 아무런 금전적 배상을 받을 수 없다. 그러나 국가가 범죄피해자 또는 그 유족에게 구조금을 지급함으로써 민법상 불법행위제도의 결함을 보완하려는 목적으로 1988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도다.

하지만 현행법은 범죄피해자 구조금의 상한을 사망과 상해 피해 구분 없이 범죄피해 당시의 월급액이나 월실수입액 또는 평균임금의 48개월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2021년 상반기 기준으로 약 1억4899만원 정도가 상한액이 된다. 이는 범죄피해자와 가족들이 받는 고통과 범죄피해로 인한 경제적 타격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이러한 구조금 상한으로 인해 범죄피해자 보호가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고, 특히 사망 피해자 유족에 대해서는 구조금 상한을 대폭 상향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도 범죄피해자 구조금의 상한이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우리나라보다 높게 정해져 있어 범죄피해자에 대한 실질적인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홍석준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영국의 경우 보상금액 상한이 50만 파운드(약 7억 8000만원)로 우리나라와 큰 차이가 난다.

우리나라의 연도별 범죄피해구조금 지급현황을 살펴보면 실제로 지급되는 구조금액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의 경우 유족구조금 145건에 81억원, 장해구조금 27건에 8억6000만원, 중상해구조금 34건에 3억6000만원이 지급됐다. 평균 지급액으로 보면, 유족구조금 5588만원, 장해구조금 3198만원, 중상해구조금 1080만원에 불과하다

홍석준 의원이 대표 발의한 “범죄피해자 보호법” 개정안은 유족구조금의 경우 상한을 현행 월급액 또는 평균임금 48개월에서 120개월로 상향하고, 장해구조금과 중상해구조금의 경우 현행 48개월에서 60개월로 상향하고 있다.

홍석준 의원은 “범죄피해자와 유가족들이 피해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원이 이뤄져야 하지만, 우리나라 범죄피해자 구조금 제도는 지급대상이나 지급액에 제도적 허점이 있어 충분한 피해자 구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면서 “조속히 법령을 정비해, 범죄피해자 구조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홍석준 의원은 대구 개구리소년 사건과 같이 범죄 발생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 뒤늦게 구조대상 범죄피해임이 밝혀진 경우에도 구조금 신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범죄피해자 보호법' 개정안을 지난 4월 대표 발의 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